ndaily

서방 반러 전선에도…러시아 '편드는' 나라 오히려 늘었다
기사 작성일 : 2023-03-13 09:00:57
작년 6월 브릭스(BRICs·5개 신흥국) 화상 정상회의에 참여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


[타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김동호 기자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지 1년이 지난 현재 서방의 대(對)러시아 제재 및 고립 강화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를 지지하는 입장의 국가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13일 나타났다.

아프리카와 남미, 중동 등지의 신흥국을 중심으로 서방 진영에서 이탈하는 나라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영국 시사주간 이코노미스트의 부설 경제분석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은 최근 보고서에서 "점점 더 많은 국가가 러시아 편을 들고 있다"며 "중립적이거나 비동맹적 스탠스를 취했던 국가들이 입장을 바꿨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EIU는 전쟁 발발 이후 세계 여러 국가의 러시아에 대한 제재 집행, 유엔에서의 투표 성향, 국내 정치 상황, 공식 성명, 경제·정치·군사·역사적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그 결과 러시아를 적극적으로 비난하는 국가의 수는 1년 전 131개국에서 일부 신흥국 이탈의 영향으로 122개국으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과 일본도 러시아를 비난하는 입장으로 분류됐다.

중립국은 32개에서 콜롬비아, 카타르, 튀르키예 등이 더해지며 35개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국가는 양쪽 모두로부터 경제적 이익을 얻고자 이같은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EIU는 설명했다.

러시아로 편향된 나라는 29개에서 35개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중국이 여전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말리·부르키나파소·우간다 등 아프리카 국가들과 남미의 볼리비아, 중동의 이란 등에서 러시아 지지 성향이 강해졌다고 EIU는 분석했다. 북한도 여기에 속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한 '반(反)러시아 블록'의 국내총생산 총합은 로, '친(親)러시아 블록'의 를 압도했다.

하지만 국가별 인구 합계로 비교해보면 반러 진영 , 친러 진영 로 엇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브릭스(Brics·신흥 5개국)만 보면 러시아에 반하는 국가는 하나도 없었다. 브라질과 인도는 중립국으로 분류됐고, 중국과 남아공은 러시아에 기운 것으로 평가됐다.

EIU는 "러시아와 중국은 대러 경제제재의 영향에 대해 의구심을 심고, 이전 '식민지 강대국'(과거 제국주의 국가)에 대한 분노를 활용하려 중립 성향의 국가들에 구애하고 있다"며 "아프리카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