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北만으론 안돼"…중국 단둥 무역특구, 한국 등과 교역확대 추진
기사 작성일 : 2023-05-30 13:01:01

(선양= 박종국 특파원 = 중국·북한 교역의 최대 거점인 중국 랴오닝성 단둥의 무역특구인 호시무역구가 북한에 의존하던 종전 방식에서 탈피, 교역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단둥 궈먼안 호시무역구 혁신발전 대회 모습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교역 대상을 한국, 일본, 러시아, 몽골 등 동북아시아 4개국들로 넓혀 동북 교역 거점으로 거듭나겠다는 것이다.

30일 단둥 소식통들에 따르면 단둥 궈먼완 호시무역구는 지난 28일 '궈먼완 호시무역구 혁신 발전대회 및 단둥항 호시무역구 수입품 도착지 가공산업단지 투자 유치 발대식'을 개최했다.

단둥 관·재계 대표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행사는 북중 국경 폐쇄 이후 사실상 폐업 상태인 단둥 호시무역구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궈먼완 호시무역구 운영회사의 천취안퉁 회장은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탈피, 혁신 발전을 통해 호시무역의 종합적인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국제 전자상거래 및 국내외 교역 활성화를 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동북아 4개국(한국·일본·러시아·몽골)과도 호시무역 문호를 개방하고, 중국 동북 지역과 남방 지역의 거래를 촉진하는 물류 거점기지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또 현재 건설 중인 단둥항 수입품 호시무역구에 대한 국내외 투자를 유치해 도착지 가공산업을 활성화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호시무역구는 중국과 접경 국가 주민 간 소규모 무역 활성화를 위해 국경을 자유롭게 오가면서 교역하게 하고, 일정 금액 이내 물품을 면세로 거래할 수 있도록 혜택을 주는 곳이다.

국경 간 인구 이동이 자유로운 베트남과 라오스 등 접경 지역에 설치된 호시무역구에서는 활발한 거래가 이뤄져 필요한 물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고, 지역경제 발전 촉진에도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1997년 훈춘을 시작으로 단둥과 투먼, 창바이 등에 들어선 대북한 호시무역구는 사정이 다르다.

북한은 접경 지역 주민들이 국경을 벗어나 중국 호시무역구를 오가는 것을 금지하고 당국이 허가한 무역상들만 제한적으로 교역하도록 통제해 애초 호시무역구 설립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코로나19 발생에 따라 2020년 1월 북중 국경이 봉쇄되면서 북한 접경지역에 설치된 중국의 호시무역구들은 사실상 문을 닫은 상태다.

2015년 문을 연 궈먼완 호시무역구에는 1천여 업체가 입점했으나, 3년째 운영이 안 되면서 큰 경제적 타격을 받고 있다.

랴오닝성 소속 천더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위원은 작년 3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궈먼완 호시무역구 폐쇄로 입점 업체들과 창고 운영자들이 5억 위안(약 933억원)의 경제 손실을 봤고, 주변 1천여 상가도 타격을 받아 단둥의 경제 손실이 10억 위안(약 1천870억원)에 달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2020년 착공해 단둥항 인근 임항산업단지 내 8만㎡ 터에 건설 중인 '단둥항 변경 호시무역구'의 1단계 사업이 오는 6월 완공돼 하반기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북중 국경 봉쇄 이후 문 닫힌 궈먼안 호시무역구


[촬영 박종국 기자]

이 호시무역구는 중국 호시무역구 가운데 처음으로 수입 원자재를 가공해 생산하는 완제품에 대해 면세 혜택을 주는 '도착지 가공 시범구역'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잇는 신압록강대교와 ㎞ 떨어진 곳에 있는 이 호시무역구는 북중 국경 봉쇄가 풀리면 북한의 원자재를 들여와 가공, 완제품을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엔 제재에 따라 북한에서 수출할 수 있는 원자재가 극히 제한적인 현실을 고려하면 북한뿐 아니라 한국 등 동북아 4개국에도 동등한 호시무역 세제 혜택을 부여해 교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단둥의 한 소식통은 "이번 행사는 머잖아 북중 국경이 개방돼 교역이 활성화할 것에 대비하고, 북한뿐 아니라 동북아 국가들과의 교역도 호시무역 대상에 포함해 단둥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열린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