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해양생태계 탄소흡수 2050년까지 136만t"…'블루카본 추진전략'
기사 작성일 : 2023-05-31 20:00:40

차민지 기자 = 해양수산부가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및 2050 탄소중립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해양 생태계를 활용한 '블루카본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블루카본은 해양생물 등 해양 생태계의 탄소흡수원으로, 갈대, 칠면초 등 염생식물과 갯벌, 잘피(바다에 사는 종자식물의 일종) 등을 포함한다.

블루카본에 대한 과학적 연구 및 정책은 육상 탄소흡수원에 비해 초기 단계이지만, 국제사회는 탄소중립·기후위기 대응 측면에서 블루카본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해수부는 31일 이 같은 블루카본 추진전략을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블루카본 추진전략은 2030년 온실가스감축목표에 따라 블루카본 흡수량을 2030년까지 106만6천t, 2050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라 블루카본 흡수량을 2050년 136만2천t까지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를 위해 ▲ 해양의 탄소흡수력·기후재해 대응능력 강화 ▲ 신규 블루카본 인증 및 장기 추진 기반 마련 ▲ 민간·지역·국제협력 등 블루카본 조성 참여 확대 등을 추진한다.

해수부는 염생식물, 해초류 등 기존 블루카본을 늘리는 동시에 비식생 갯벌, 해조류 등 새로운 블루카본에 대한 선제적 복원과 보호에 나선다.

염생식물은 식재를 통해 2050년 660㎢까지, 해초와 해조류는 바다숲을 조성해 2030년까지 현 면적보다 85% 늘어난 540㎢까지 각각 늘릴 계획이다.

식물이 살지 않는 비식생 갯벌을 늘리기 위해 폐염전·폐양식장 및 방치된 간척지 등에 해수를 유통해 갯벌로 복원할 방침이다.

또 콘크리트 방파제 대신 염생식물, 굴 패각 등을 활용하는 '숨쉬는 해안'을 조성해 탄소흡수량 증가를 꾀하고 연안침식 등 기후재해도 방지한다.

해수부, 생태복원 바다숲과 산란·서식장 선정


해양수산부가 연안해역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15곳에 감태, 모자반 등을 이식해 바다숲을 조성한다고 5일 밝혔다. 해수부는 수산자원 산란·서식장도 4곳 추가로 지정했다. 사진은 바다숲 점검 모습. [해양수산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현재 정부 간 협의체(IPCC) 온실가스 통계 지침에 반영되는 해양 탄소흡수원은 해초류, 염생식물, 맹그로브 등 3종뿐이다. 비식생 갯벌, 해저 퇴적물, 해조류 서식지는 후보군에 오른 상태다.

해수부는 국내 갯벌의 98%가 비식생 갯벌인 만큼 이를 IPCC 통계에 반영하기 위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

비식생 갯벌 등이 블루카본으로 IPCC 인증을 받으면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탄소 흡수량에 대한 정보)에 즉시 등재하고 2030 NDC 실적에 반영할 방침이다.

해역별 블루카본 연구거점 3개소를 설치해 인프라를 조성하고 데이터도 고도화한다.

또 양자·다자협력, 국제기금 활용,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확장 등 국제감축사업을 통해 국외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민간·어업인·지자체 등 참여 주체 다양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어업인 대상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를 도입하고 지자체에서는 해양 탄소흡수원 외부사업을 활성화하는 게 대표적이다.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는 민간과 정부(지자체) 간 생태계 유지·증진에 관한 사전 계약을 체결하고 민간의 성과에 따라 계약금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아울러 민간의 다양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과 연계할 방침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해양의 탄소흡수기능 강화를 목표로 마련한 추진전략인 만큼 성실히 이행해 해양수산 탄소중립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고 기후위기에도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래픽]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계획


반종빈 기자 = 정부가 2030년 해양수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약 70% 감축하고 갯벌, 바다숲 등 블루카본을 단계적으로 확충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15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제4차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페이스북 트위터 @yonhap_graphic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