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한국서 일하고 귀국한 외국인 근로자, 전문인력 활용해야"
기사 작성일 : 2023-06-07 15:00:19
필리핀 아클란주에서 강연하는 김연홍 센터장


김 센터장 제공

양태삼 기자 = 한국에서 최장 9년 8개월간 일하고 귀국한 '귀환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국에서 전문인력으로 다시 일할 수 있게 해 일손 부족을 풀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산업인력공단 김연홍 필리핀 고용허가제(EPS) 센터장은 7일 단국대 융합사회연구소의 학술지 '융합사회와 공공정책' 최신 호에 게재한 '고용허가제 귀환 근로자의 귀국 후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필리핀 귀환 근로자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이렇게 제언했다.

김 센터장은 한국에서 일하다가 돌아가 필리핀의 세부, 바기오, 팜팡가 등 3대 도시에 사는귀환 근로자 28명을 지난해 5월 한 달간 단순 통계 방식이 아니라 행동과 화법, 태도까지 표현하는 문화 기술적 면담 방식으로 조사했다.

조사 결과 이들은 모두 다시 한국에 돌아가 일하고 싶다고 대답했다.

필리핀의 월급을 30만원으로 잡을 때 사우디아라비아는 50만원, 대만은 70만원 수준이나 한국의 임금은 각종 수당을 포함하면 적어도 월 200만원으로 필리핀 근로자가 취업하는 세계 120여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이들은 이유를 꼽았다.

여기에다 산재보험과 건강보험 등 노동 환경이 우수하고, 한국서 받은 임금을 기반으로 필리핀의 가족을 부양하고 귀환 후 사업 자금을 확보할 좋은 기회가 된다고 답했다.

이들은 한국에서 일할 때 월급의 40% 안팎을 저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센터장은 이들의 성공적인 정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한국에 재입국을 희망하면 숙련도를 평가해 비전문취업비자(E-9)가 아니라 전문 취업(E-7) 비자를 발급해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현행 고용허가제가 39세 이하에만 해당해 출국할 때 연령이 40세일 경우 재입국이 불가능해 불법체류(미등록)를 유발한다고 논문은 분석했다.

외국인 근로자는 한차례 4년 10월씩 두차례에 걸쳐 최장 9년8개월간 한국에서 일할 수 있다. 김 센터장은 "2004년부터 고용허가제에 따라 16개국에서 88만여명이 입국해 일하다 이 중 56만명이 돌아갔다"면서 "이들이 문화 적응과 한국어 능력, 생산력 측면에서 우수한 만큼 인력난을 겪는 조선, 전기, 도장, 용접 업종에서 일하게 하고 유학 희망자도 지원해주는 게 인재를 유치하는 이민정책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연구의 조사 대상이 필리핀에 국한된 제한적인 만큼 귀환 근로자가 매년 2천명 이상인 네팔과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등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댓글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