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외교부 "日 '군함도' 새로운 설명조치, 끝이 아닌 과정의 시작"
기사 작성일 : 2023-09-18 17:00:40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 현판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의 조선인 강제동원 역사를 왜곡했다는 지적을 받는 일본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의 현판. [ 자료사진]

김효정 기자 = 외교부는 일본이 2015년 세계유산에 등재된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 등 근대산업시설과 관련해 조선인 강제노역 역사를 반영하는 일부 새로운 조처를 한 것은 "(이행) 과정의 시작"이라고 평가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8일 기자들과 만나 "(세계유산위원회) 결정문도 이야기하는 것처럼 지금 끝나는 게 아니라 계속 진행해 나가야 할 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앞으로 일본이 희생자 증언 전시 및 추모조치 등을 개선하고 추가해 나갈 수 있도록 한일 양자 차원 및 유네스코와 계속 대화해 나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세계유산위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45차 회의에서 근대산업시설과 관련해 일본이 스스로의 후속조치 약속을 계속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관련 당사국들과 대화를 지속할 것을 독려한다는 결정문을 채택했다.

일본은 이 시설이 2015년 세계유산에 등재될 때 조선인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함께 알리겠다고 약속했지만 지키지 않아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그러다가 최근 도쿄 산업유산 정보센터에 조선인 등 하시마 탄광 사상자 관련 자료를 전시하는 희생자 추모 공간을 신설하는 등 일부 새로운 조처를 했다.

일본은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가 결정된 2015년 세계유산위 회의 당시 한일 정부 대표의 발언을 볼 수 있는 QR 코드도 두 군데 설치했다.

일본 대표가 당시 "1940년대에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다른 나라 사람들이 본인 의사에 반해 동원되고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노역을 당했다"고 인정한 발언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해 이번 세계유산위 결정문은 일본에 대한 비판이 눈에 띄게 누그러졌다는 해석이 나왔다. 반면 2021년에는 세계유산위가 일본의 약속 불이행에 '강력한 유감'을 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표현이 조금 부드러워진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거기에 담은 내용이 바뀌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유산위가 이번 결정문에서 '새로운 증언'과 관련해 당사국들과의 대화를 계속하라고 권고한 것을 거론하며 "증언이라는 특정한 조치에 대한 내용이 결정에 담긴 것은 처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일본이 개선 조처를 했다는 점은 또 다른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사도(佐渡) 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관건은 어느 정도로 충실하게 '전체 역사'를 보여줄 수 있느냐다.

정부가 약속 이행의 '시작'이라고 강조하는 것도 앞으로 계속해서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이 근대산업시설에 대해 아무것도 안 하고 있는데 당연히 새로운 시설을 등재하는 것은 어렵다고 봐야 하지만, 뭔가 새로운 걸 시작했다면 사도광산에 대해서도 똑같이 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