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HJ중공업, 탄소 포집·저장 8천500TEU급 컨테이너선 개발
기사 작성일 : 2023-11-13 15:00:20

HJ중공업, 핀란드 바르질라사 공동 개발 협약식


왼쪽부터 바르질라 얀 오스만 부사장, HJ중공업 김보언 상무 [HJ중공업 제공]

(부산= 조정호 기자 = HJ중공업[097230]은 선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한 뒤 하역할 수 있는 8천5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친환경 컨테이너선 개발에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선박, 메탄올 추진선, 수소 선박 개발 등 탄소중립을 앞당길 수 있는 기술력을 축적해 온 HJ중공업은 이번 기술 개발로 친환경 선박 전문 조선사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HJ중공업은 국제해사기구(IMO)의 2050년 온실가스 배출 넷제로(Net-Zero) 목표에 따라 강화되는 해상 환경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난 4월 세계적인 선박용 엔진 제조사인 핀란드 바르질라(Wartsila)사와 공동 개발 협약을 맺은 바 있다.

두 회사는 온실가스 감축을 넘어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을 위해 6개월여간 공동연구를 했고, 선박 엔진이나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해 액체 상태로 저장 후 하역할 수 있는 새로운 선형 개발에 성공했다.

탄소 포집·저장(CCS) 분야 연구기관인 국제 CCS 연구소는 각국의 탈탄소 정책 추진으로 글로벌 탄소 포집·저장 시장은 매년 30% 이상 성장해 2050년 포집량이 76억t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HJ중공업이 이번에 개발한 탄소 포집 8천500TEU급 컨테이너선은 기존 석유계 연료를 사용하더라도 IMO 규제를 충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높은 효율의 이산화탄소 포집을 할 수 있다.

이 회사는 LNG나 메탄올 연료 추진 선박에도 이 기술을 적용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추가로 줄일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CCS시스템을 선체에 최적화하고 CCS 운영에 필요한 연료 역시 에너지 절감 장비를 통해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선내에서 액화 저장되고 하역 후 지하 폐유정에 저장하거나 이산화탄소를 필요로 하는 산업에 활용된다.

HJ중공업은 이번 CCS 컨테이너선 선박 개발로 탄소중립 시장과 글로벌 CCS 선박 선점을 위한 교두보로 삼겠다는 복안이다.

HJ중공업 관계자는 "IMO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선박용 탄소 포집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며 "국제사회의 2050 탄소제로 목표에 발맞춰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친환경 선박 시장을 선도할 기술력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