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주한독일대사 "中편중 경제관계 재정립…한독시장 서로 활용해야"
기사 작성일 : 2023-11-23 07:00:02

게오르그 슈미트 주한 독일대사 인터뷰


배재만 기자 = 게오르그 슈미트 주한 독일대사가 21일 서울 성북구 주한독일 대사관저에서 와 단독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3.11.23

김승연 김지연 기자 =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세요. 개방된 세계 경제에서 우린 항상 취약하고 자생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니 더 많은 바구니에 계란을 나누면 됩니다."

게오르크 슈미트 주한독일대사는 지난 21일 성북동 대사관저에서 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미국과 중국의 갈등 속에서 올해 수교 140주년을 맞은 한국과 독일이 취해야 할 전략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슈미트 대사는 반목하는 미중조차 서로 경제적으로 결부돼있고 한국과 독일도 중국과 경제적으로 중요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며 대안으로 '디리스킹'(de-risking·위험제거) 방침을 언급했다.

디리스킹은 공급망을 분리하는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과는 다른 개념으로, 올 상반기 재닛 옐런 재무장관 등 미 정부 고위 인사들이 대중 정책 기조로 언급하면서 급격히 부상했다.

슈미트 대사는 "경제적 관계를 재정립하고 새로운 균형을 만들 수 있다"며 한국과 독일이 경제적인 면에서 협력 잠재력이 크다고 봤다.

독일 기업들이 한국 시장을 활용하거나 제3국에서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 한국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한국 기업 입장에서도 독일과 유럽연합(EU)이 매력적인 시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슈미트 대사는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한국과 협력을 한층 다질 분야로 '기후변화' 의제를 손꼽았다.

그는 2020년 독일이 내놓은 인·태 전략에서는 "지속가능성이 곧 안보 리스크로 정의된다"며 "기후변화가 우리 삶의 방식을 위협하게 된다면 이는 국경을 가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말 마찬가지로 인·태 전략을 내놓은 한국과 협력할 잠재력이 크다며, 일례로 한국과 독일이 기후변화에 취약한 태평양 도서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추세라는 점을 짚었다.


게오르그 슈미트 주한 독일대사 인터뷰


배재만 기자 = 게오르그 슈미트 주한 독일대사가 21일 서울 성북구 주한독일 대사관저에서 와 단독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3.11.23

그는 북한 문제에서도 양국이 협력할 공간이 크다고 봤다.

슈미트 대사는 현재 통신선조차 단절된 남북 관계에 대해 "매우, 매우 어렵다"고 인정하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개방된 통신채널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독일도 마찬가지로 북한에 있는 대사관이 2020년 초 코로나19 여파로 임시 폐쇄된 뒤 지금까지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슈미트 대사는 "북한 정부와 대화하는 건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우리가 협력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제안했다.

독일의 유엔사 참여 문제에 관해서는 한국뿐 아니라 여러 행위자가 연루된 문제라며 "매우 신중히 살펴봐야 한다"고 말을 아꼈다.

북러 군사협력과 관련해서는 "이제 아시아 안보와 유럽 안보가 밀접히 연결돼있다는 걸 모두가 안다"며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슈미트 대사는 북한과 러시아가 협력했다는 증거가 발견되면 대가가 따를 것이라며 유엔과 EU 차원의 제재 등 가능 조치를 살펴보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북러 협력으로) 한반도에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이나 위험이 있다고 중국 측에 제기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중순 신임장을 제정하고 주한대사로 공식 부임한 슈미트 대사는 직전에는 주태국대사, 주일본대사관 1등 서기관, 연방대통령청 아시아·호주·아프리카·개발협력과장 등 아시아 관련 업무 이력이 많다.

그는 주한대사 임기 중 계획으로 "한국은 서울 그 이상"이라며 수도를 넘어 다양한 지방 도시와 많이 접촉하고 싶다는 뜻을 내비쳤다.

댓글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