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세계박람회 개최 성사 여부 '운명의 날'
(파리= 황광모 기자 = 박성근 국무총리 비서실장이 2030 부산 세계박람회(EXPO) 유치를 결정할 173차 세계 박람회 기구(BIE) 총회가 28일 오전(현지시간) 파리 르 그랑 인터컨티넨탈호텔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총회 순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30 세계박람회를 개최할 도시는 한국시간 자정께 BIE 회원국 투표를 통해 결정될 예정이다. 2023.11.28
(파리= 김영신 기자 = 2030년 세계박람회를 개최할 나라가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결정된다.
우리 시간으로 이르면 29일 0시에서 오전 1시 사이에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해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와 치열한 경쟁을 벌여온 우리나라는 마지막 순간까지 한표 한표를 최대한 끌어모아 역전승을 거머쥐겠다는 각오를 보이고 있다.
정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국제박람회기구(BIE) 제173차 총회에서 2030 세계박람회 유치 경쟁국 간 최종 프레젠테이션(PT)과 개최지 투표가 진행된다.
한 총리를 비롯한 한국 대표단은 최종 PT와 투표 직전 마지막까지 PT 연습과 전화통화, 면담 등을 하며 오전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박성근 총리비서실장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부산 세계 박람회 결정 D-1
(파리= 황광모 기자 = 2030 세계 박람회 개최지를 결정하는 173차 세계 박람회 기구(BIE) 총회를 하루 앞둔 27일 오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 있는 한국 문화원에서 열린 부산 세계박람회 홍보 행사에서 참석자들이 제기차기를 체험하고 있다. 2023.11.27
현지에서 오후 1시 30분쯤 시작하는 최종 PT는 한국, 이탈리아, 사우디 순으로 국가당 20분씩 진행된다. 각국은 '결전의 날'이 밝은 이날 오전까지도 PT 내용을 극비에 부치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종 PT에서 부산 엑스포가 인류가 당면한 공동 과제의 해결을 모색하는 '연대의 장'이 될 것이라는 비전을 부각한다는 전략이다.
유력 경쟁국인 사우디의 '오일머니'와 차별화되도록 인류 공동 가치와 중장기적인 협력 기회를 내세워 진정성 있게 부산의 당위성을 설득한다는 계획이다.
최종 PT에서는 시작부와 중반부, 후반부에 영상을 상영할 예정이며, 중간 영상에는 예상치 못한 인물이 등장할 것으로 예고됐다.
박 실장은 "호응을 많이 얻을 수 있는 '깜짝 인물'이 등장할 것이며, 이들은 한국의 부산과 관련이 있다고 전했다.
최종 PT 연사로는 한 총리 등 그간 유치 활동을 이끌어온 정부·재계 인사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등 국제적 영향력이 있는 인사가 함께 출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덕수 총리-반기문 전 총장, 엑스포 막바지 유치 활동
(파리= 황광모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오른쪽)가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를 결정할 제173차 세계박람회 기구(BIE) 총회를 하루 앞둔 27일 오전(현지시간) 막바지 유치 활동을 하기 위해 프랑스 파리 르 그랑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을 만나 이동하고 있다. 2023.11.27
3개국 최종 PT 이후에는 BIE 회원국의 비밀 전자투표가 진행된다. 당일 투표에는 분담금 납부 등 문제로 투표권을 회복하지 못한 1∼2개국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79∼180개국이 참여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
1차 투표에서 3분의 2 이상 득표한 나라가 나오면 개최지로 확정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1차 투표 상위 2개국이 결선 투표로 진출한다.
PT와 투표 소요 시간 등을 고려하면 최종 결과는 현지 오후 4∼5시, 한국시간으로는 29일 0시∼1시 무렵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1차 투표에서 우선 이탈리아에 앞선 뒤 결선 투표에서 사우디에 역전승을 거둔다는 전략과 목표를 세웠다.
사우디보다 후발주자인 한국은 당초 열세라는 평가가 있었지만, 정부·민간이 함께 힘을 합쳐 회원국 하나하나를 접촉해 설득하는 '정성과 집중' 전략으로 사우디를 바짝 추격했다고 정부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1차에선 사우디가 앞서겠지만 결선에서 유럽 표와 사우디 이탈표 등을 흡수하면 승산이 있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
그간 엑스포 개최지 투표에서는 1차에서 가장 많은 득표를 한 국가가 결선에서도 승리했다. 이번에 우리나라가 결선에서 사우디를 상대로 역전에 성공하면 새로운 역사를 쓰는 주인공이 된다.
박 실장은 최종 판세에 대해 "예측할 수 없다"며 "한국의 진심이 가감없이 전달되도록 최선을 다해 국민과 함께 쉼없이 달린 긴 여정을 잘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래픽] 2030엑스포 개최지 선정 투표절차
이재윤 기자 =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182개 회원국의 익명 투표로 2030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지가 선정될 예정인 가운데 투표 절차와 결과가 주목된다. 182개 회원국 가운데 분담금을 모두 납부한 회원국만 투표권을 행사하는데 최대 180개국이 투표에 참여한다고 가정했을 때 1차 투표에서 3분의 2인 120표 이상을 얻는 국가가 나오면 곧바로 2030엑스포 개최지로 확정된다.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정부와 재계, 부산시 등 민관이 하나가 된 '코리아 원 팀'은 당일 투표 직전까지도 한 표라도 더 얻고자 총력전은 마지막까지 이어지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23∼24일 파리를 찾아 BIE 회원국 대표들을 만나 막판 유치전을 했으며, 이날 국무회의에서 "원팀 코리아가 종료 휘슬리 울릴 때까지 부지런히 뛰고 있으며, 저는 순방 기간에 시간 날 때마다 각국 정상들과 계속 통화하며 부산 지지를 호소했다"고 밝혔다.
한 총리도 전날 밤 기자 간담회에서 "최후에 끝났다는 종이 울릴 때까지 정부와 민간이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밝히고 늦은 밤과 이날 오전까지도 한표 호소하는 통화를 이어갔다.
막판 이틀 새 한국과 사우디가 서로가 확보한 지지표를 뺏고 뺏기는 치열한 교섭 경쟁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이유로 우리 측이 접촉한 국가 수와 국가명도 공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