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낙동강 하류 철새도래지 보호구역 축소 재추진
기사 작성일 : 2023-12-06 11:01:12

월동하는 겨울철새


[ 자료사진]

(부산= 손형주 기자 = 부산시와 강서구가 낙동강 하류 철새도래지 문화재보호구역 축소를 1년 만에 재추진하고 나섰다.

6일 부산시와 강서구 등에 따르면 강서구는 지난달 천연기념물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문화재 지정 구역 조정안을 시에 제출했다.

시는 문화재위원회를 열어 검토한 뒤 지난달 30일 문화재청에 관련 안건 심의를 요청했다.

강서구는 낙동강 하류에서 문화재구역으로 지정된 87.2㎢ 중 서낙동강·평강천·맥도강 등 19.4㎢에 대해 구역 해제 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조정안 신청은 지난해 말에 이어 두 번째다.

올해 3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는 철새 대체 서식지 마련 방안 등이 미흡했다는 이유로 조정안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냈다.

강서구는 문화재청이 요구한 철새 대체 서식지에 대한 부분을 구체화해 재신청했다고 설명했다.


문화재 지정구역 조정 해제 전·후 비교


[문화재 위원회 회의록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강서구는 해당 지역이 철새 도래지로서 기능을 일부 상실했는데 여전히 문화재보호구역으로 묶여 대저동 연구개발특구 등 각종 개발사업을 준비하는데 차질을 빚고 있다며 합리적인 재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강서구 관계자는 "1966년에 지정된 문화재보호구역이 지역 여건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며 "해제가 되면 주민 재산권 침해가 줄어들 것이고 보호구역 해제가 된다고 해서 무조건 철새 도래지 피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환경단체는 환경보호에 가치를 두는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발상이라며 반발했다.

박중록 낙동강하구지키기 전국시민행동 위원장은 "이곳이 과거보다 철새가 많이 찾지 않는 이유는 각종 불법 사항을 지자체가 방관했기 때문"이라며 "순천만보다 환경적 가치가 뛰어난 낙동강 하구의 가치를 강서구만 모르고 보존보다 개발이라는 시대에 역행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