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일문일답] 이종호 "전력 잡아먹는 AI에 차세대 원전 중요…정책 확대"
기사 작성일 : 2024-03-26 06:00:56

와 인터뷰 중인 이종호 장관


(브뤼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5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와 인터뷰하고 있다. 2024.3.25 [과기부 제공]

(브뤼셀= 정빛나 특파원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기술 수요 확대로 안정적 전력 공급이 가능한 차세대 원전 필요성이 더 높아졌다며 내년부터 관련 정책을 확대하겠다고 예고했다.

이 장관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와 만나 전력 소비량을 줄이는 이른바 '저전력 AI 반도체' 개발과 차세대 소형 원전 개발이라는 두 개의 축이 병행돼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유럽연합(EU)을 필두로 전 세계적인 AI 규제 동향에 대해서는 "한국에 맞는 규제가 필요하다"면서도 "역설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국내도 AI 규제법이 빨리 정리돼야 거기에 맞춰 기업 발전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과 인터뷰를 일문일답 형태로 정리했다.

-- 지난 21일 EU 의장국 벨기에와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첫 공동 주최한 원자력정상회의에 한국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유럽이 '탈(脫)원전'에서 회귀한 분기점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현장 분위기는 어땠나.

▲ (그런 평가가) 정말 맞다. 전체 EU 27개국 중 거의 반 이상이 참석했고, 정상급 혹은 정책 결정권을 가진 인사들이 참석했는데, 하나같이 단순히 원자력 에너지 확대가 아니라 이행, 즉 실천하겠다고 말한 것이다. 그것이 개인적으로 인상적이었다. 가령 벨기에, 스웨덴 등은 기존 탈원전 정책을 전환해서 원전 (개발도) 하고, 재생에너지도 하는 식으로 맞춰나가겠다는 것이다. 이번 회의가 EU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원전이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청정에너지로서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본다.

-- 소형모듈원자로(SMR·발전용량 30만㎾급) 등 차세대 원전 기술이 특히 많이 거론되고 있는데 우리 정부 계획은.

▲ 유럽에서 원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도 AI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 수급에 대한 걱정도 있지만, 전기자동차 등 여러 분야에서 AI 반도체가 많이 쓰이는데 사실은 AI가 전기 에너지를 너무 다량으로 소비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우리는 AI가 잡아먹는 전기를 공급하는 차세대 원전 개발, 그리고 AI 전력 소비를 낮추는 '저전력 AI 반도체' 개발이라는 두 축으로 가고 있다. 원자력정상회의에서 만난 각국 대표단에게도 이런 점을 강조했고, 유럽 각국도 한국에 대한 관심을 많이 표명했다.

-- 우리나라는 과거 차세대 원전 관련 원천 기술을 확보하기도 했지만 후속 연구 부족으로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지적이 있다. 그간 공백을 메우기 위한 방법은.

▲ 역대 정부에 따라서 (관련 연구가) 좀 정체돼 뒤처진 면이 있지만 그래도 원전 강국으로서 여전히 강점이 있는 부분이 있다. 지금은 정부가 선행 연구를 하고 기업에 이전을 하기엔 늦다. 민간 기업을 핵심이 되도록 참여시켜서 정부의 SMR 개발을 주도적으로 해나가고, 기존에 이미 정부 연구를 통해 축적한 기술을 기반으로 노형별 민·관 합작 프로젝트 등을 통해 실증·상용화 기반을 신속하게 구축해야 한다. 이미 다섯 가지 노형별 관련 정책이 진행 중이지만 내년에는 좀 더 강력하게 추진하려고 하고 있다.

-- SMR과 같은 차세대 소형 원전과 관련해서는 사용 후 핵연료 처리 기술도 중요한 문제로 꼽힌다. 이 문제는 미국과 협력도 중요할 텐데, 관련 R&D 및 미국과 공동연구 계획은.

▲ 한국 정부도 그간 사용 후 핵연료 처리 기술 고도화 사업 등을 추진해왔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이제는 관련해 실증을 위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중이라고 보면 된다. 미국과는 '고연소도 사용 후 핵연료'를 활용한 추가 협력 연구가 필요하다. 미국이 파이로프로세싱(사용 후 핵연료 건식 재처리) 기술과 관련해 소위 핵확산 가능성을 우려하기에, 우리가 개발한 기술이 '비핵확산' 특성이 있다는 것을 검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아직은 시작하는 초기 단계다.

-- AI 기술 발전과 함께 각국의 규제 움직임도 강화되고 있다. EU는 세계 최초로 AI규제법을 채택하기도 했는데, 이런 흐름에 비해 한국은 너무 늦었다는 지적이 있는데.

▲ AI 규제는 그 나라의 수용성에 맞게 정밀하게 설계돼야 한다고 생각된다. 유럽의 수용성과 우리 국민의 수용성은 다를 수 있다. 국민 수용성에 맞추는 동시에 AI 개발 환경이 잘 조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내부에서 검토하고 있도 준비하고 있다. 역설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AI법이 빨리 정리가 돼야 기업들도 더 빨리 발전할 수 있다. 어느 범위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이 명확해져야 그것에 맞춰 개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