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푸틴, 서방 보란듯 광폭행보로 세불리기…새 세계질서 야욕(종합)
기사 작성일 : 2024-06-21 19:00:57

김정은, 평양 순안공항서 푸틴 영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영접했다고 조선중앙TV가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미소를 지으며 푸틴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조선중앙TV 화면] 2024.6.19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모스크바·서울= 최인영 특파원 김연숙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베트남 순방 일정을 마무리하고 21일 모스크바로 복귀했다.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이후 국제적 고립에 처했던 푸틴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초밀착'에 이어 미국과도 관계 강화에 나서고 있는 베트남과의 우호 관계 확인으로 세 불리기를 과시했다.

그러나 미국을 위시한 서방 주도의 세계를 다극화 세계로 재편, 새로운 질서를 주도하려는 야욕을 거침없이 드러낸 그의 위험한 판 흔들기 행보에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안보 지형은 다시 한번 요동쳤다. 신냉전 구도 격화 속에 서방의 경계심도 극도로 고조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번 방북 기간 김 위원장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을 체결, 28년 만에 북·러 군사동맹을 사실상 부활하고 미국 주도의 유엔 안보리 대북·대러 제재 무력화도 시도했다.

미국의 패권주의와의 싸움을 재천명하며 북한과 주고받기에 나서면서 반미·반서방 연대를 공고히 한 셈이다.

베트남에선 또 럼 국가주석과 서로의 적대국과는 동맹을 맺지 않기로 하고, 국방·안보 분야 협력을 심화하고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강화 원칙에도 합의했다.

경제적 영향력 확대에도 나섰다. 북한과 의료·의료교육·과학협력 협정과 두만강 교량 건설에 대한 협정도 체결했고 베트남과는 액화천연가스(LNG) 공급, 해상 수송로 건설 프로젝트, 원자력 분야 협력 등을 논의했다.

또 북한, 베트남 방문 기간 '자체 결제체계 구축', '자국통화 결제 비율 확대' 등을 언급하며 미국 달러화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도 했다.

푸틴 대통령으로선 최근 잇따라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우크라이나 평화회의로 소수 동맹국이나마 우군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었다.

푸틴 대통령이 이번 순방을 통해 북한의 무기와 병력 등 지원을 얻어 우크라이나 작전을 서둘러 마무리 지을 돌파구를 찾고, 미국에 맞서 러시아 중심의 패권 질서를 장악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북한 김정은, 푸틴과 회담


(평양 조선중앙통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9일 금수산영빈관에서 회담이 진행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2024.6.20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특히 북러간 군사 조약은 한반도를 넘어 서방에서도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주제다.

이번 방북을 통해 우크라이나 전장에 투입될 북한의 대러 미사일·탄약 제공이 가속화될 것으로 점쳐지면서 서방과 러시아의 대립은 더 커진 상황이다.

푸틴 대통령은 순방을 마무리하고 베트남에서 귀국하기 전 미국과 그 동맹국들이 우크라이나에 정밀 무기를 계속해서 공급한다면 북한을 무장시킬 용의를 밝히기도 했다.

또 서방을 향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패배는) 러시아 1천년 역사의 종식을 의미한다"며 "우리가 왜 두려워해야 하는가. 끝까지 가는 게 낫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했다.

한국 정부가 북러 조약에 반발해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히자, 그는 "아주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상응 조치를 거론하며 한국을 위협했다.

이번 북러 조약은 동북아를 넘어 전세계 안보에 전반적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방은 그 파장을 주시하며 촉각을 세웠다.

나토와 달리 북한과 러시아가 가치와 신념을 고리로 뭉친 것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서로의 이해관계로 결합했다는 점에서 지속성과 견고함이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는 평가절하성 분석도 잇따라 제기됐다.

그간 국제적 고립 위기에 처했던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집권 5기를 시작한 이후 한 달 동안 중국, 벨라루스, 우즈베키스탄, 북한, 베트남 등을 오가는 광폭 행보로 반서방 블록 구축을 가속해왔다.

여기에는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서방이 우크라이나 지원 문제 등으로 고심하는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러시아에 유리한 세계 질서를 새롭게 구축하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러시아가 원하는 반서방 연대의 핵심인 중국이 북러 조약 체결에 관해 "두 국가 간의 일"이라며 다소 미지근한 반응을 보인 것은 푸틴 대통령에게 고민을 안길 수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한미일 대 북중러 대립 구도가 형성된 상황에서 중국의 더욱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는 것이 러시아의 숙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침 푸틴 대통령은 다음 달 3∼4일에는 카자흐스탄에서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해 우방국들과의 안보 협력 강화를 재확인한다.

이 자리에서 푸틴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비롯해 인도·이란·카자흐스탄 등 SCO 회원국 정상들과 만나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도 회동할 예정이다.


[그래픽] 푸틴 러시아 대통령 최근 방문 국가


김영은 기자 =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베트남 국가주석 만난 푸틴


(하노이 AP= 베트남을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이 20일 하노이 주석궁에서 또 럼 베트남 국가주석의 환영을 받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베트남 방문 기간에 베트남 권력 서열 1∼4위를 모두 만날 예정이다. 2024.06.20

유튜브로 보기



https:https://youtu.be/Mu-0tapXbl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