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북러 새 조약, 중국에 골칫거리…한중관계엔 기회"
기사 작성일 : 2024-06-21 22:01:03

북-러 포괄적 전략적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이봉석 기자 =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동맹급 새 조약이 중국에 새로운 골칫거리로 떠올랐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20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북러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대한 조약'은 중국이 비난하는 미국의 블록화와 정확하게 같은 종류라면서 이같이 전했다.

북러의 조약은 동북아시아에서 냉전식 대결의 위험성을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조약이 중국이 피하고자 하는 '북중러 삼각동맹' 구도를 심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는 점은 중국에 또 다른 고민을 던져준다.

이제 한국과 미국, 일본은 북러 조약에 따른 위협으로 자신들의 안보 체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나설 수 있다.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무제한 협력'에 합의했고, 북한에 대해서는 변함없는 지원을 약속했었다.

시 주석 입장에서는 북러라는 '왕따 국가'의 예측할 수 없는 두 지도자의 행동에 따른 악영향에 직면할 위험도 있다.

이미 푸틴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중국과 서방 관계에 심각한 손상을 가했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핵 무력시위는 한미일 3각 공조를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에서 사용할 군수품을 받는 대가로 북한에 핵무기 프로그램을 강화할 기술을 제공할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스인훙 인민대 교수는 NYT에 "중국 시각에서 북러 조약은 한미일 동맹과 결합해 지역 내 대립과 경쟁, 갈등 위험을 상당히 악화시켰다"고 말했다.

스 교수는 "한반도 평화가 중국의 최우선 과제"라며 "지역 내 군사화가 가속하면서 중국의 중대한 이익 중 하나가 위태로워졌다"고 덧붙였다.

북러의 초밀착이 한중관계에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북러 관계가 냉전 시대 군사동맹 수준으로 격상됨에 따라 중국이 한국과 관계를 회복하고 안정화하려는 동기를 더 갖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평양에서 만났던 지난 18일 서울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고위 외교안보 당국자들이 회동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