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달 뒷면 탐사 쇼크…중국이 미국보다 먼저 웃었다
기사 작성일 : 2024-06-26 19:01:07

중국 달 탐사선 '창어 6호'


[신화= 자료사진]

이신영 기자 = 중국이 인류 최초로 달 뒷면의 토양 표본을 확보하면서 우주 탐사의 경쟁 상대인 미국을 긴장시키고 있다고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중국 우주탐사선 '창어(嫦娥·달의 여신 항아) 6호'는 달 뒷면에서 토양과 암석 샘플을 채취하는 등 표면 탐사를 마치고 이날 지구로 돌아왔다.

민간과 협력해 달에 유인 탐사선을 보내겠다는 미국의 아르테미스 계획이 잇따라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미국보다 먼저 웃은 것이다.

미국과 중국은 달의 뒷면인 남극에 기지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WSJ에 따르면 미국은 특히 중국이 달에 먼저 기지를 세우게 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의 빌 넬슨 국장은 지난 4월 의회 청문회에서 "중국이 먼저 달에 도달한 뒤 갑자기 '자 이제 여기는 우리 땅이야. 비켜줘"라고 말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넬슨 국장은 중국이 영토 분쟁에서 보여온 그간의 행동들이 앞으로의 상황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고도 말했다.

WSJ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15년 미국 백악관을 방문했을 당시 남중국해를 군사화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중국은 이후 인공섬에 비행장과 미사일 격납고 등을 짓고 사실상 군사화했다.

달의 남극에는 인류의 기지 건설을 위한 자원이 있는 지역이 매우 한정적일 수 있는 만큼 미국으로서는 중국이 먼저 기지 건설에 착수하는 상황이 우려스러울 수밖에 없다.

WSJ은 지난 2017년 중국과학원의 한 과학자가 중국이 달에 가려고 하는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한 비유가 미국과 중국의 경쟁을 심화시켰다고 설명했다.

당시 이 과학자는 남중국해에서 중국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지역의 중국어 명칭을 사용해 "우주는 바다와 같다. 달은 이 가운데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이며 화성은 황옌다오(黃岩島)다"고 말했다.

댜오위다오는 일본과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 열도의 중국 명칭이며, 황옌다오는 필리핀과 분쟁 중인 스프래틀리 군도 내 스카버러 암초를 말한다.

다만 중국 외교부는 넬슨 국장의 이런 발언에 대해 우주의 평화를 위협하는 것은 중국이 아니라 미국이라고 비판하며 일축했다.

WSJ은 특히 달 남극 기지 건설에 관한 우주 조약이 명확히 없는 점도 향후 분쟁 가능성을 키운다고 짚었다.

현재 존재하는 우주 조약은 1967년 발효된 유엔 '우주협약'이 있다.

100개국 이상이 비준한 이 조약은 특정 국가가 달을 비롯한 우주에서 주권을 주장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두 나라가 같은 장소에 달 기지를 건설하겠다고 나섰을 경우 어떻게 조율할지와 관련한 명문화된 규정은 없다,

미국이 이런 우주 조약을 보완하고 달 탐사의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 2020년 아르테미스 협정을 제시하고 참여국을 모으기 시작하자 중국은 이를 우주 헤게모니 장악을 위한 미국의 연극이라고 비판하며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중국은 40여개국이 참여한 아르테미스 협정에 참여하는 대신 러시아, 파키스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10개국과 별도로 손을 잡기도 했다.

다만 달 남극에 교두보를 마련하는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을 수 있다고 WSJ은 언급했다.

50여년 전 아폴로 8호가 착륙했던 달의 적도 지역과 비교하면 뒷면의 남극은 더 거칠고 빛도 많이 받지 않는 곳이어서 착륙이 더 어렵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은 이곳에 얼음 상태의 물(water ice)과 같은 천연자원이 있어 시도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2008년 인도의 찬드라얀 1호가 달 궤도를 돌며 뒷면의 태양 빛이 들지 않는 지역에 얼음 상태의 물이 있다는 관측 결과를 내놓으면서 달 탐사에 속도가 붙었다.

얼음 상태의 물이 얼마나 존재하는지는 아직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이를 우주비행사를 위한 물이나 산소, 혹은 로켓 연료에 사용될 수소 등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달의 남극에는 태양이 지속적으로 비추는 지역이 존재하고, 금속 침전물의 증거도 발견돼 탐사 가치를 높이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