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美탐사보도센터, 오픈AI·MS 상대 소송…"저작권 침해"
기사 작성일 : 2024-06-28 17:01:06

CIR 웹사이트 로고


홈페이지 캡처

임상수 기자 = 미국 탐사보도 전문 비영리단체 탐사보도센터(CIR)는 27일(현지시간)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이 회사에 투자한 마이크로소프트(MS)를 상대로 자신들의 저작권이 침해당했다면서 미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CNBC방송에 따르면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탐사보도 매체인 CIR는 이날 뉴욕 남부지방법원에 제기한 소송에서 오픈AI가 "CIR의 허가나 승인, 그리고 어떤 보상도 없이 CIR의 귀중한 콘텐츠를 복사, 활용, 요약 등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피고들(오픈AI 등)은 저널리즘의 저작물로 (AI의) 훈련 데이터를 만들 때 저널리즘 저작물을 존중할지 아닐지를 선택할 수 있었지만, 그들은 후자를 택했다"면서 "챗GPT가 저작권을 인식하거나 존중하지 않도록 학습시켰다"고 지적했다.

CIR의 최고경영자(CEO) 모니카 바우어라인도 보도자료에서 "무임승차 행위"라고 비난했다.

CIR는 실제적인 손해와 피고의 이익 또는 침해된 저작물당 750달러 이상, 미국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DMCA) 위반당 2천500달러 이상의 법정 배상을 요구했다.

오픈AI와 MS는 CNBC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앞서 뉴욕타임스도 지난해 12월 챗GPT 학습 데이터에서 확인된 자신들의 콘텐츠와 관련된 지식재산권 침해를 주장하면서 오픈AI와 MS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시카고 트리뷴 등 8개 신문사도 지난 4월 뉴욕타임스와 유사한 소송을 했으며, 미국 드라마 '왕좌의 게임' 원작자 조지 R.R. 마틴과 존 그리샴 등 유명 작가 17명도 지난해 9월 저작권 침해를 주장하는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비해 오픈AI와 협력하는 언론사들도 늘고 있다.

오픈AI는 이날 유명잡지 타임과 콘텐츠 사용을 위한 다년 계약을 체결한 것을 비롯해 뉴스코퍼레이션, 월스트리트저널, 마켓워치, 배런스, 뉴욕포스트 등과도 유사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온라인 커뮤니티 기업 레딧도 오픈AI에 자사 콘텐츠 접근을 허용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