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구글, AI 윤리지침 변경…'무기·감시에 사용안한다' 조항 삭제
기사 작성일 : 2025-02-05 17:01:03

구글 로고


[A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주종국 기자 = 미국 빅테크 구글의 인공지능(AI) 윤리 지침에서 이 기술을 무기나 감시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사라졌다.

미국 국방부 등 국방이나 안보 관련 수요가 커지는 만큼 AI 기술을 이에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워싱턴포스트(WP)는 구글이 4일(현지시간) AI에 관한 윤리 지침을 업데이트하면서 AI를 무기나 감시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조항을 삭제했다고 보도했다.

이전에는 ▲무기 ▲감시 ▲ 전반적인 피해를 유발하거나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기술 ▲국제법 및 인권 원칙에 위배되는 사례 등 4가지 분야에는 AI 기술 사용을 추구하지 않는다고 명시했었다.

구글의 AI 분야 책임자인 데미스 허사비스와 기술·사회 담당 수석부사장 제임스 마니카는 이와 관련 블로그 게시물에서 AI 기술이 훨씬 더 많이 보급됐고 민주 국가에 기반을 둔 기업이 정부 및 국가 안보 관련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 AI 윤리 지침을 업데이트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지정학적 환경 속에서 AI 리더십을 차지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는 민주주의 국가가 자유, 평등, 인권 존중과 같은 핵심 가치에 따라 AI 개발을 주도해야 한다고 믿는다"면서 "그리고 이런 가치를 공유하는 기업, 정부, 조직이 함께 협력해 사람을 보호하고 글로벌 성장을 촉진하며 국가 안보를 지원하는 AI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구글의 새 AI 윤리 지침은 "구글이 널리 받아들여지는 국제법과 인권 원칙에 따라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람의 감독을 받으며 피드백도 구하도록 한다"는 조항이 포함돼 있다. 아울러 "의도하지 않았거나 해로운 결과를 완화하기 위해 기술을 테스트한다"라고도 명시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대 정치학 교수로, 미국 국방부에서 신기술 연구를 담당했던 마이클 호로위츠는 "구글의 새 윤리 지침은 주요 AI 기업을 포함한 미국의 IT 산업이 국방부 등과 계속 가까워지고 있다는 증거"라고 짚었다.

그는 "구글이 새로운 현실을 반영해 지침을 업데이트한 것은 당연한 일"이라면서 AI와 로봇 공학 및 관련 기술은 미군에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미국 정부는 이런 기술을 책임감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기술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