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작년 한국 국가청렴도 세계 30위…"정쟁 양극화가 부정적 영향"
기사 작성일 : 2025-02-11 16:00:10

유철환 권익위원장


[ 자료사진]

곽민서 기자 = 지난해 대한민국 국가청렴도 순위가 세계 180개국 중 30위를 기록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11일 국제투명성기구(TI)가 발표한 '2024년도 부패인식지수(CPI)'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국가청렴도 순위가 전년도 32위보다 두 계단 오른 30위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부패인식지수 점수 평가 체계가 바뀐 2012년 이래 역대 최고 순위라고 권익위는 전했다.

우리나라 국가청렴도 순위는 전년도 조사 당시 7년 만에 하락했으나, 1년 만에 전년도 선순위였던 서아프리카 섬나라 카보베르데(30위→32위)를 제쳤다.

선진국 클럽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도 우리나라 국가청렴도 순위는 전년보다 한 계단 오른 21위로 상승했다.

부패인식지수 점수 역시 100점 만점에 64점으로 전년(63점)보다 1점 오르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권익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번 순위는 지난해 10월까지 국가청렴도를 조사한 수치로 12월 비상계엄 선포 사태는 조사 결과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권익위는 "국가적 차원의 부패 방지 노력이 국가청렴도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암호화폐 범죄 등 신종 부패 발생 요인의 확대와 정쟁으로 인한 국민들의 양극화 등은 대내외 부패 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권익위는 지속적인 국가청렴도 개선을 위해 지방·일선 현장을 대상으로 고강도 부패 점검을 진행하기로 했다.

특히 공직 사회에서 하급 직원이 간부에게 사비로 식사를 대접하는 '간부 모시는 날' 등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하고, 공직자 행동강령에 '가상자산 거래 시 직무 관련 정보 이용 금지'를 명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아울러 채용 비리 발생 비율이 높은 기관을 대상으로 채용 실태 집중 조사를 시행하는 한편,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반 부패 방지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책연구용역도 추진한다.

부패인식지수(CPI)는 국제투명성기구가 전문 평가기관 평가를 거쳐 매년 발표하는 공공·정치 부문 부패도 측정 지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