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PF 위기' 지방저축銀 연체율 최고 8%…규제완화에도 M&A 제자리
기사 작성일 : 2024-05-01 07:00:16

저축은행


[ 자료사진]

오지은 기자 =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기로 저축은행업권의 자산건전성 우려가 고조된 가운데 일부 지방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8%대까지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예금보험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광주·전남·전북지역 저축은행 연체율은 8.1%로 전년(4.3%) 대비 3.8%포인트(p) 높아졌다.

이어 대구·경북·강원과 대전·충남·충북이 7.8%를 기록했다. 두 지역은 전년에도 4.2%로 같았으며 1년 만에 3.6%p 높아졌다.

아울러 경기·인천이 7.6%, 부산·울산·경남이 6.4%로 각각 전년(3.5%·3.8%) 대비 4.1%p, 2.6%p 올랐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6.55%였는데, 서울(6.0%)과 부산·울산·경남(6.4%)을 제외한 지역 저축은행이 전국 평균 연체율을 웃돌았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대구·경북·강원의 경우 10.2%까지 치솟았고, 경기·인천(8.8%), 광주·전남·전북(8.5%), 대전·충남·충북(8.4%)도 8%대로 뛰었다.

이처럼 지방저축은행의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데는 부동산 관련 대출의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비대면 모바일뱅킹의 발달로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기능이 축소된 가운데 부동산 담보·부동산 PF 대출 취급 비중이 높아졌으며 건설·부동산 경기가 침체하며 전체 연체율도 높아진 것이다.

일례로 지난해 말 기준 광주·전남·전북 지역 저축은행 7개사의 전체 대출금 규모 대비 부동산 관련 대출(부동산 담보·건설업·PF 대출) 비중은 37.3%였고, 연체율은 9.33%에 달했다. PF 연체율도 13.8%를 기록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경쟁력이 떨어지는 지방·중소형저축은행을 큰 회사로 편입하기 위한 취지로 비수도권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동일 대주주가 최대 4개까지 저축은행을 소유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하지만 지난해 매물로 나온 상상인·상상인플러스·HB·애큐온저축은행도 여전히 새 주인을 찾지 못한 상태다.

이는 저축은행이 9년 만에 5천억원대 순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한 데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작아지며 인수매력도가 낮아진 탓으로 보인다. 저축은행업권은 여신 취급 시 고정금리 비중이 높아 금리 하락 시 예대마진이 커진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매수 측에서도 지방 저축은행보다 수도권 저축은행을 선호하면서 인수합병(M&A)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표] 지방·중소형 저축은행 연체율·고정이하여신비율

(단위:%)

2021년 말 2022년 말2023년 말연체율고정이하여신비율연체율고정이하여신비율연체율고정이하여신비율서울2.42.43.24.26.07.2경기·인천2.52.53.53.87.68.8광주·전남·전북3.33.33.53.98.18.5대구·경북·강원4.34.34.24.37.810.2대전·충남·충북2.82.84.23.67.88.4부산·울산·경남2.72.73.84.16.47.4

※ 자료: 오기형 의원실, 예금보험공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