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금리 인하 실망감 이긴 'AI 열풍'…상반기 S&P 500 15% 상승
기사 작성일 : 2024-06-28 17:01:05

엔비디아 본사


[AF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주종국 기자 = 올해 상반기 미국 주식시장에서 인공지능(AI) 열풍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를 15% 밀어 올렸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져 투자심리가 위축될 법했지만, 지난해부터 몰려든 AI에 대한 투자금은 좀처럼 줄지 않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시간) 주식투자자들이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AI에 열광하면서 올 상반기 시장 상승세를 이끌었다고 보도했다.

특히 엔비디아 주가가 올해에만 150% 급등하면서 한때 전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회사로 올라섰다.

올해 초에는 연준의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가 컸다.

올해 중에 금리를 6번 정도 내릴 것이라는 전망 속에 한 해를 시작했지만 이후 나온 경제지표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금리인하 기대감은 점차 약화했다.

연준은 지금까지도 금리인하에 신중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긴축적 통화정책은 채권금리 상승을 불러왔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작년 말 연 3.860%에서 이달 27일 4.287%로 올랐다.

채권금리가 오르면 주식 시장에는 마이너스 요인이 된다. 주가 하락 리스크를 감내하려는 투자자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여건에도 불구하고 주식투자자들은 AI가 가져다줄 미래 수익을 얻기 위해 시장에 적극 뛰어들었다.

결국 S&P 500 지수는 올해 31번이나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상승 행진을 이어갔다.

하반기의 투자 여건은 좋은 편이다.

기업 이익이 호조를 보이고 인플레이션이 완화될 조짐이 나타나면서 연준이 연내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희망이 커지고 있다.

물론 안 좋은 점도 있다.

연준이 금리를 내리지 않고 계속 동결한다면 투자자들은 인내심을 잃을 수 있다.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축이 심해지면 투자자들은 정책 변화의 가능성을 많이 따져봐야 한다.

이미 많이 오른 주가도 시장 전반에 부담이다.

올해 들어 엔비디아 주가 상승분이 배당금을 포함해 S&P 500 지수 구성종목 총상승분의 30%를 차지한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플랫폼, 아마존까지 합치면 전체 지수 상승분의 절반을 넘는다.

베세머 트러스트의 홀리 맥도널드 투자책임자는 "분명히, AI는 많은 테크 기업들에 큰 힘이 됐다"면서 "말만 떠들썩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기업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