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한지훈 기자 = 지난해 국내 가구당 평균 부채가 처음으로 준 반면, 자산은 늘면서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9일 발표한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부채는 9천128만원으로 전년 대비 0.6% 줄었다.
가구당 평균 부채가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금융부채가 상대적으로 적은 1인 가구나 고령 가구가 늘어난 구조적 요인 때문으로 분석됐다.
가구당 평균 자산은 금융자산과 실물자산이 나란히 늘어난 덕분에 증가세를 보였다.
◇ 가구 순자산 3.1% 늘어난 4억4천894만원…불평등 지니계수 확대
조사 결과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1천295만원(2.5%) 증가한 5억4천22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4천894만원으로 전년 대비 3.1% 늘었다.
금융자산은 1억3천378억원으로 6.3%, 실물자산은 4억644만원으로 1.3% 각각 증가했다. 특히 거주 주택 이외 부동산이 4.4% 증가했다.
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이 24.8%, 실물자산이 75.2%를 차지했다. 금융자산 구성비가 전년 대비 0.9%포인트(p) 확대됐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1천448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이상(5억8천251만원), 40대(5억8천212만원), 39세 이하(3억1천583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자영업자 가구 자산이 6억7천64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근로자(5억8천486만원), 무직 등 기타(4억6천532만원), 임시·일용근로자(2억4천383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2억3천780만원으로, 1분위 가구(1억6천948만원)의 7.3배였다. 지난해(6.8배)보다 격차가 확대됐다.
순자산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6억2천291만원으로, 순자산 1분위 가구(3천859만원)의 42.1배에 달했다. 역시 지난해(39배)보다 격차가 벌어졌다.
순자산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순자산 지니계수는 0.612로 지난해보다 0.007 높아졌다.
◇ 세종 지역 평균 자산 서울 앞서
지난 3월 말 기준 자산 규모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세종이 7억6천663만원으로, 서울(7억6천173만원)을 앞질러 가장 많았다. 경기(6억5천945만원)가 뒤를 이었다.
충남(3억5천915만원)은 전국에서 자산 규모가 가장 작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가구주는 여유자금 운용 방법으로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를 선호한다는 응답 비율이 53.3%로 가장 많았다.
'부동산 구입'은 22.7%, '부채 상환'은 20.1%였다.
금융자산 투자 시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예금이 87.3%로 가장 많았고, 주식(9.8%), 개인연금(1.7%) 등의 순이었다.
1년 후 거주지역 주택가격 전망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주가 전체의 46.2%였고, '상승할 것'이 17.7%, '하락할 것'이 14.8% 등으로 집계됐다.
소득이 증가하거나 여유자금이 생기면 부동산에 투자할 의사가 있는 가구주는 전년 대비 3.2%p 감소한 49.4%였고, 가장 선호하는 운용 방법은 아파트(65.8%)였다.
◇ 부채, 소득 2분위 4.3%↑…임시·일용근로자 4.0%↓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당 평균 부채는 9천128만원으로 지난해보다 0.6% 감소했다. 전체 가구의 평균 부채가 줄어든 것은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이 중 금융부채는 6천637만원으로 0.8%, 임대보증금은 2천491만원으로 0.1% 각각 줄었다.
부채가 있는 가구 비율은 60.7%로, 지난해보다 1.4%p 감소했다.
소득 5분위별로는 소득 1분위 평균 부채가 1천975만원으로, 지난해(2천4만원)보다 1.4% 감소했다.
2분위(4천625만원)는 4.3% 늘고, 3분위(7천333만원)는 1.5% 줄었다. 4분위(1억1천177만원)와 5분위(2억529만원)는 각각 2.1%, 0.5% 줄었다.
가구주가 40대인 가구의 평균 부채가 1억3천148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1억317만원), 39세 이하(9천425만원), 60세 이상(6천328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임대보증금 비중이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자영업자 가구 부채가 1억2천2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근로자(1억1천283만원), 무직 등 기타(4천631만원), 임시·일용근로자(3천390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임시·일용근로자 가구 부채가 지난해보다 4.0% 줄어 가장 큰 감소율을 기록했다.
입주 형태별로는 전세 가구의 평균 부채가 1억2천26만원으로, 자가 가구(1억716만원)보다 많았다.
◇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 7.4%p↓
금융부채 세부 구성은 담보대출 5천273만원, 신용대출 946만원, 신용카드 관련 대출 52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금융부채는 전체 가구 부채의 72.7%로, 지난해에 비해 비중이 0.2%p 줄었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는 전체 가구의 54.1%로, 역시 1.6%p 줄었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금융부채 1억2천261만원, 소득 8천153만원, 자산 6억11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금융부채 보유 가구 비율이 줄어든 것은 상대적으로 금융부채가 적은 1인 가구, 60대 이상 가구 등이 많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부채 보유 가구 인식 조사 결과,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65.1%로, 지난해보다 2.5%p 감소했다.
아울러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4.5%로 지난해보다 0.9%p 줄었다.
3월 말 기준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지난해보다 0.5%p 감소한 16.9%였다.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7.4%p 감소한 68.4%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