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우분투 신년특집] ④ 내전에 치이고 재난에 떠도는 아프리카 난민(끝)
기사 작성일 : 2025-01-03 09:01:01

지난해 6월 기준 각국 강제이주민 현황


[유엔난민기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성도현 기자 = 아프리카가 오랫동안 겪고 있는 고통 중 하나가 난민 문제다.

불가피하게 삶의 터전을 떠나는 '강제이주'가 늘어난 가운데 전 세계 난민 5명 중 1명이 아프리카에 있다.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세계 각국에서 1억2천260만명이 정치적 박해, 갈등, 폭력, 인권 침해 등으로 강제이주 상태에 놓였다. 이는 2023년 말보다 5% 증가한 수치다.

세계 인구 67명 중 1명꼴로 강제이주민인데 이들의 87%가 저·중소득 국가에 거주한다.

강제이주자로 국경을 넘어 피란한 난민은 세계적으로 4천370만명이다.

이들은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에 따라 보호받고 강제송환이 금지된다.

난민이 가장 많은 국가를 살펴보면 시리아(625만명), 우크라이나(606만명), 아프가니스탄(605만명) 순이고 아프리카의 남수단(229만명)과 수단(177만명)이 그다음이다.

이어 미얀마(6위)를 제외하고 콩고민주공화국(DRC·민주콩고), 소말리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에리트레아 등으로 톱10 중에서 아프리카 국가가 모두 6개나 된다.


잠비아 메헤바 난민 정착촌 내 중학교 학생들


[유엔난민기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아프리카에서는 내전 등 정치·경제적 불안과 기후 재난 등으로 난민이 대거 발생하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난민은 인접국들이 많이 받아들인다.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전 세계 난민의 20% 이상을 수용하고 있다.

우간다(165만명), 차드(123만명), 에티오피아(99만명), 수단(86만명), 케냐(56만명) 등이 대표적이다.

난민 발생국이자 수용국인 우간다는 2006년 난민법을 채택하고 난민들이 지역사회와 소통할 수 있도록 적극 나섰다. 현재 12개 캠프에서 난민을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아프리카 난민들이 유럽이나 북미의 고소득 국가로 도망치려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통계상 85%가 피난처로 이웃국가를 선택한다.

실제로 세계 5대 난민 캠프 중 3곳이 아프리카에 있다. 케냐 다다브(2위) 및 카쿠마(3위), 수단 움라쿠바(5위) 등의 난민은 대부분 인근 국가에서 건너왔다.


남수단 난민촌


[세이브더칠드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러한 상황에서 UNHCR은 민주콩고와 사헬 지역(사하라 사막 이남 반건조지대), 수단을 긴급상황 발생국으로 지정하고 구호활동을 펼치고 있다.

무장단체 준동 등으로 인해 불안정한 민주콩고에서는 630만명이 국내실향민이 됐고, 100만명 이상이 주변국으로 피란했다.

부르키나파소, 말리, 니제르 등이 포함된 중부 사헬은 인도적 위기 상황으로 400만명 이상이 실향민 처지가 됐다.

기후변화로 인한 자원 부족 탓에 분쟁이 심화하고 있다.

수단에서는 약 1년 반 전에 격화한 분쟁으로 300만명 이상이 피란을 떠났다. 지난해 10월에는 한 달 사이에 6만여명의 수단인들이 차드로 피했다.

아프리카에선 예기치 못한 상황 때문에 가족이 한순간에 뿔뿔이 흩어져 소식이 끊기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에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는 실종자의 생사와 소재지를 파악해 가족과 연결해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법의학·정신건강·데이터보호 분야 전문가 500여명과 실종자 가족, 각국 정부, 국제기구, 적십자사 등이 협업하고 있다.

남부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실종 가족을 찾기 위해 '얼굴 인식' 등 온라인 추적 서비스도 제공했다.


ICRC-코이카, 나이지리아서 기초보건 의료서비스 지원


[국제적십자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3년 기준 아프리카에서 ICRC에 의뢰된 실종자 찾기 건수는 6만9천495건으로 전 세계 실종자 접수 건수(22만1천978건)의 31.3%에 해당한다.

아프리카에서 가족 상봉까지 이어진 사례가 8천381건임을 생각하면 10건 중 1건이 가족 찾기에 성공한 셈이다.

ICRC는 지난해 한국국제협력단(KOICA·코이카)을 통해 우리 정부와도 실종자 찾기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해 협력을 시작했다.

코이카는 2026년까지 3년간 중동 3개국(요르단·시리아·레바논)을 대상으로 한 '분쟁피해 이산 및 실종가족 지원을 위한 평화구축 프로그램'에 1천90만 달러(약 160억원)를 지원한다.

코이카와 ICRC는 이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아프리카 지역에 이산 및 실종가족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해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최근 방한한 패트릭 유세프 ICRC 아프리카 권역 총괄국장은 코이카와 이 문제를 논의했다.

ICRC 관계자는 "아프리카에서 국경을 초월한 인도주의적 노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중앙추적국을 통해 수단, 민주콩고, 나이지리아 등에서 상황을 조율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