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광복 80주년…경남도, 잊힌 독립운동가 발굴 확대
기사 작성일 : 2025-02-02 10:00:02

밀양 1919년 만세운동 재현


[ 자료사진]

(창원= 이정훈 기자 = 경남도는 2025년 광복 80주년을 맞아 잊힌 독립운동가를 발굴해 서훈(훈·포장 수여) 신청에 적극 나선다고 2일 밝혔다.

경남도는 우선 올해 1919년 기미년 3·1운동에 참여했지만,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와 이들 행적을 입증할 자료를 찾는 데 집중한다.

경남은 경기도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3·1운동 시위 건수, 참여 인원이 많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 발굴되지 못한 독립운동가들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경남도는 3·1운동 관련 재판이 집중된 1919∼1921년 사이 작성된 재판, 수형 기록을 뒤져 아직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와 그 활동을 뒷받침할 자료를 발굴해 서훈 신청을 한다.

경남도는 또 독립운동에 참여했지만, 서훈을 받지 못한 사례를 대상으로 입증자료 확보에 나선다.

국가보훈부는 일제강점기 재판 및 수형 기록(학생은 퇴학 기록) 등을 공적 심사 대상자의 독립운동 여부를 확인하는 객관적인 입증자료로 인정하고, 신문 기사, 해방 이후 역사서, 향토지, 증언록 등은 참고 자료로 활용한다.

경남도는 부산에 있는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과 협업해 재판기록 등 객관적인 자료를 찾아 미서훈 독립운동가가 훈·포장을 받도록 하는 데 주력한다.


창원 1919 삼진연합대의거 재현


[ 자료사진]

경남도는 '민선 8기'가 출범한 이듬해인 2023년부터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나 증빙 자료 부족 등으로 훈·포장을 받지 못한 독립운동가 발굴을 시작했다.

경남도는 그해 창원만세사건 참여자 등 24명에 대한 서훈을 신청했다.

이어 지난해 창원 흑우연맹(黑友聯盟) 관련자, 토지조사 반대운동 참여자 등 54명에 대한 서훈을 신청했다.

국가보훈부는 경남도가 2023년 서훈을 신청한 24명 중 6명에 대해 지난해 독립운동 참여를 인정해 서훈했다.

나머지 2023∼2024년 서훈 신청자에 대한 공적 심사는 진행 중이다.

경남도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보완자료 제출 등을 통해 2023∼2024년 신청자들이 추가로 서훈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