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멕시코 韓기업들 '관세유예'에 "급한 불 껐지만 불확실성 여전"
기사 작성일 : 2025-02-04 07:01:03

기아 멕시코 공장 전경


[기아 멕시코 법인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멕시코시티= 이재림 특파원 = 미국과 멕시코 정부가 3일(현지시간) 미국의 대(對)멕시코 25% 관세 부과를 한 달 유예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일단 급한 불길은 잡았다"며 안도하는 반응을 보였다.

다만, 이번 조처가 한시적인 데다 관세 부과 시기를 언제든 변경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불확실성 때문에 업체들은 관세 부과를 전제로 위기관리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

글로벌 완성차 업체 각축장인 멕시코에서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간 기아 멕시코 법인은 이날 미국과 멕시코 간 합의에 따른 고율 관세 부과 유예 조처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면서 급변하는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 접경 누에보레온주(州)에 공장을 둔 기아 멕시코 공장에서는 지난해 27만여대의 차량을 생산했고, 이 중 62%가 미국에 수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아직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미국으로의 수출에 일부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판매처를 다각화하는 방안을 살피고 있다고 기아 측은 전했다.

기아 멕시코 관계자는 에 "예단하기는 힘들지만,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는 전제를 놓을 단계는 아니다"라면서 "통관과 관세 부과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한 달간의 미국·멕시코 간 협의 내용에 맞춰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멕시코·미국·캐나다 국기


[시우다드후아레스 로이터=. 재판매 및 DB 금지]

이런 분위기는 멕시코에 진출한 400여곳의 법인(2023년 기준·한국수출입은행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추산) 중 미국과 직·간접적 교역 물품에 관여하는 업계에서 대부분 공유하고 있다고 한다.

삼성전자 멕시코 생산법인(SAMEX)에 전자제품을 납품하는 핵심 협력업체 중 한 곳은 "결과적으로 미국 정부가 관세를 아예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는 섣부를 수 있다"며 "마약 펜타닐과 이민자 흐름 억제 등에 대한 멕시코 정부의 의지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상황은 언제든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내 시중은행 중 2008년 멕시코에 처음 진출한 이후 산업도시 몬테레이에 최초로 지점을 개소하는 등 경쟁력을 확보한 신한은행 멕시코법인 역시 "현재로선 미국과 멕시코 간 협상 과정을 비롯한 추이를 면밀히 살펴야 하기 때문에 업체들의 신중한 관망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피력했다.


3일(현지시간) 기자회견하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멕시코시티 AFP=. 재판매 및 DB 금지]

일각에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 달 뒤에도 추가 유예 조처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섞인 관측을 내놓았다.

트럼프 협상 스타일상 '성에 차지 않으면' 원하는 걸 얻어낼 때까지 관세 부과 개시 시기를 조금씩 뒤로 미루면서 관세 위협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는 뜻이다.

경우에 따라선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이행사항 검토 시기인 2026년 전후 때까지 유사한 방식의 '관세 무기화'가 이어질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레이노사 지역 한 전자기기 부품 제조업체 관계자는 "과거 트럼프 1기 정부 때에도 USMCA 체결을 비롯한 주요 국면에서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간 적 있다"면서 "업계 사정은 다르겠으나, 조금씩 움찔하면서도 트럼프 임기 내내 각자 나름의 대응 전략을 세워 놓고 혹시나 발생 가능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