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사상최악' 스웨덴 총격범, 은둔형 실업자…범행동기 오리무중
기사 작성일 : 2025-02-06 03:00:58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한 스웨덴 교육센터


[EPA . 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 정빛나 특파원 = 스웨덴에서 역사상 최악의 총격 사건으로 다수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나라 전역이 충격에 휩싸였다.

5일(현지시간) 로이터, AP 통신 등에 따르면 경찰은 전날 외레브로 지역의 한 성인 교육센터에서 발생한 총격으로 범인을 포함해 11명이 사망하고 최소 5명이 중상을 입었다고 최종 집계했다.

현장에서 숨진 범인은 스웨덴 국적의 35세 남성으로, 전과가 없고 경찰 관리 대상 인물도 아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범인이 스웨덴의 사회적 문제로 꼽히는 갱단 조직과도 연관이 없으며 단독 범행으로 추정하고 있다.

범행 동기는 오리무중이다.

총격범은 2014년 이후 소득세를 신고한 이력이 없으며 외레브로 도심의 원룸 건물에 거주했다고 로이터는 경찰 소식통과 납세 기록을 인용해 전했다.

현지 일간 아프톤블라데트는 총격범의 친척들과 한 인터뷰를 토대로 범인을 수년간 가족들과 거의 접촉하지 않은 '은둔자'로 묘사했다.

이 신문은 또 그가 기타 악기 모양의 상자에 사냥용 소총을 숨겨 교육센터에 진입한 뒤 화장실에서 옷을 갈아입고 총기를 난사했다고 전했다.

범인은 처음 경찰이 현장에 처음 도착했을 때 경찰관을 향해서도 발포했으나 이후 숨진 채 발견됐다. 총구를 스스로 겨눠 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긴박하고 참혹했던 당시 상황도 속속 전해지고 있다.

센터에서 수업을 듣던 베르메 씨는 현지 일간 엑스프레센에 처음 총소리를 들었을 때 "문이 쾅 닫히는 소리인 줄 알고 '누군가 화가 난 것 같다'고 했다"며 "곧이어 교사가 '문을 잠그고 바닥에 엎드리라'고 외쳤다"고 회상했다.

다른 교실에서 스웨덴어 수업을 듣던 미르나 에사 씨는 "어떤 여성이 '안돼, 안돼, 안돼'라고 말하는 소리가 들렸고 이내 총소리가 이어졌다"며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도 몰랐고 나는 그저 전속력으로 달렸다"고 전했다.

또 다른 생존자는 TV4 방송과 인터뷰에서 "뒤를 돌아봤더니 바닥에 피를 흘리고 있는 사람이 세 명 있었다. 모두가 충격에 휩싸였다. 그들은 '나가라'고 소리를 질렀다"고 설명했다.

사건이 발생한 '캠퍼스 리스베리스카'라는 명칭의 센터는 20세 이상 성인을 위한 초·중등교육과 이민자 대상 스웨덴어 수업, 직업 훈련 및 지적장애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학교다. 부지 내에는 미성년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도 있다.


희생자 추모하는 스웨덴 국왕 부부


(외레브로 AFP= 5일(현지시간)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 내외가 5일(현지시간) 총격사건이 발생한 외레브로 지역의 교육센터를 찾아 추모하고 있다. 2025.2.5 [재판매 및 DB 금지]

사건 하루 만인 이날 센터에는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시민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현장 인근 교회에서 열린 추모식에는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 내외, 울프 크리스테르손 총리, 군나르 스트롬메르 법무장관 등도 참석했다.

왕실 및 정부기관 건물에는 조기가 게양됐다. 스웨덴이 속한 벨기에 브뤼셀 EU 집행위원회 본부에도 조기가 게양됐다.


비통해하는 시민들


(외레브로 AFP= 총격 사건이 발생한 스웨덴 외레브로 지역의 교육센터 인근에서 시민들이 슬퍼하고 있다. 2025.2.5 [재판매 및 DB 금지]

국제무기조사기관 '스몰 암스 서베이'(Small Arms Survey)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스웨덴 민간인이 소지한 총기는 인구 100명당 23.1정으로 세계 19위로 많다.

유럽연합(EU) 평균으로 보면 총기 소지율이 높은 편이긴 하지만, 대부분 사냥용 총기 소유자이며 관련 면허 취득을 위해서는 엄격한 자격 요건이 뒤따른다.

유럽 전체 평균보다는 높은 수준이지만 주로 사냥용 총기 면허 소지자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1위인 미국(100명당 120.5정)과 비교해서는 한참 낮은 수치라고 CNN 방송은 짚었다.

인구 1천만명의 스웨덴은 오랫동안 높은 생활 수준과 강력한 사회안전망을 갖춘 선진국으로 꼽혔으나 최근 몇 년 새 갱단이 활개를 치면서 정부는 폭력 관련 범죄를 막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