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hoto.odigital.co.kr/photo/2025/02/11/2025021117152217392617224362.jpg)
간담회에 앞서 인사하는 송미령 장관
이진욱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1일 서울 방배동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열린 '식품업계 현안 해결을 위한 간담회'에서 인사하고 있다. 2025.2.11
신선미 기자 = 최근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잇따르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1일 식품업계에 물가안정 기조에 협조해달라고 직접 요청했다.
송 장관은 이날 서초구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식품업계 현안 해결을 위한 간담회'를 열어 식품기업 대표들과 만나 "제조 혁신, 기술 개발 등 생산성 향상으로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해,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 기조에 동참해달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대응해서 풀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면 해소하겠다"며 ""식품업계의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지만, 어려운 때를 다 같이 극복한다는 입장에서 생각해달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식품기업의 원가 부담 경감을 위해 올해 코코아 생두, 커피 농축액 등 13개 수입 원료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또 수입 부가가치세 10% 면세 조치를 올해까지로 연장하기로 했고 밀, 코코아, 커피, 유지류 등 식품 원료 구입 자금으로 4천50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식품 원료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는 데다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으로 수입 단가까지 크게 뛰면서 식품업계의 원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
초콜릿 원료인 코코아 가격은 1년 전보다 92% 뛰었고, 아라비카 커피와 로부스타 커피 가격은 각각 59%, 29% 올랐다.
이에 각 식품기업은 수익성 악화를 방어하기 위해 잇따라 가격을 올리고 있다.
지난달 식품업체 중에서는 동아오츠카, 대상이 각각 제품 가격을 올렸고 외식업체로는 버거킹, 스타벅스 코리아, 할리스, 폴바셋이 메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이달에는 SPC파리바게뜨와 SPC삼립[005610], 롯데웰푸드[280360]가 가격을 올린다.
빙그레[005180]는 다음 달 제품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정국 혼란으로 정부의 물가 관리가 느슨해진 틈에 식품·외식기업이 잇따라 가격을 올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식품·외식업체들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진행되던 2016∼2017년 당시에도 앞다퉈 가격을 올려 눈총을 받기도 했다.
또 미국 신정부 출범과 공급망 불안, 에너지 비용 증가 등 대내외 환경 변화로 인해 물가 불확실성은 더 커진 상황이다.
송 장관은 최근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움직임과 관련해 "민생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 "민생 안정과 내수 회복의 기본은 물가 안정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식품업계 대표와 임원들은 이 자리에서 주요 식자재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과 수출 정책 지원 등을 건의했다.
이 자리에 참석했던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농식품부는) 가공식품 가격 인상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전달했고, 정부 차원에서 업계 애로를 지원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었다"고 말했다.
정부의 물가 안정 요청에 기업 관계자들은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면 인상 폭을 최소화하고, 인상 시기를 최대한 늦추겠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 장관은 간담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재룟값 상승 문제에 대해 "품목이 상당한데 대부분 국내 생산이 안 되는 품목이라 할당관세 적용 등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신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가 나오고 있으나 모두 불확실한 것"이라며 "농식품 관련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면서 상황을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여러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17개 기업 관계자가 참석했고 동원F&B[049770], 동서식품, 삼양식품, 오리온, 매일유업, 일화, 오뚜기, 풀무원식품 등 8개 기업은 대표가 직접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