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G)
[TV 제공]
(세종= 박재현 기자 = 정부의 경제 진단이 한층 어두워졌다. '내수 회복 지연'이라는 표현이 새롭게 들어갔고, 고용 부진 우려도 두 달 연속 포함됐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경제 심리가 위축되면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는 분석도 담겼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 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달과 비교하면 '내수 회복 지연'이라는 표현이 새롭게 추가됐다.
정부는 지난해 5월부터 그린북에 '내수 회복 조짐'이라는 표현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하반기에도 내수가 좀처럼 회복되는 흐름을 보이지 않자 11월부터는 내수 회복이라는 표현을 경기 진단에서 뺐다.
이후 12월과 1월 그린북에서도 정부는 내수 관련 언급을 하지 않았고, 이달에는 더 나아가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는 표현을 사용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다수 기관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내수 부진에 대한 우려를 표했던 것에 비하면 반년가량 늦은 셈이다.
정부 진단대로 최근 소비와 투자 등 내수 지표는 정국 혼란과 건설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악화하고 있다.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매 판매는 전월보다 0.6%, 전년 동월보다 3.3% 각각 감소했다.
1월 속보지표에서도 국내 승용차 내수 판매량이 10.5% 감소하고, 카드 국내 승인액 증가율이 5.4%에서 1.7%로 둔화하는 등 부정적 요소들이 나타났다.
작년 12월 건설투자는 전월보다 1.3%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비로는 8.3% 감소했다. 4분기 전체를 봐도 건설투자는 전기보다 3.2% 줄었다.
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1.2로 전월보다 3.0 포인트(p) 증가했지만, 여전히 기준값인 100을 밑돌았다.
조성중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연말부터 이어진 국내 정치 상황이 소비 심리 악화에 주된 영향을 미쳤다"며 "대외적으로도 미국 신정부의 관세 조치가 현실화하는 등의 상황이 겹치면서 경기 진단이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2025년 1월 고용동향은
(세종= 배재만 기자 = 통계청 공미숙 사회통계국장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1월 고용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2025.2.14
두 달 연속 고용 관련 부정적인 표현이 경기 진단에 담긴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지난달 '고용 둔화'라는 진단이 이번 달에는 '고용 애로 지속'으로 바뀌었다.
1월 취업자는 작년 같은 달보다 13만 5천명 증가했다.
다만 건설업 취업자는 16만9천명 감소해 2013년 산업분류 개편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는 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청년층 취업자도 21만8천명 줄며 2021년 1월 이후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조성중 과장은 "취업자 수 자체는 증가했지만, 청년이나 건설업, 일용직, 소상공인 등 취약 부분을 중심으로 고용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상목 권한대행,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 발언
홍해인 기자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2.14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정부는 또한 경기 진단에서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가 현실화하면서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됐다는 진단이다.
1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는 85.9로 전월보다 1.4p 하락했다.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의 영향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0.3%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미국과 중국·아세안 등에 대한 수출이 감소했다.
경상수지 흑자 폭 또한 무역수지 적자(-19억 달러)의 영향으로 둔화가 예상된다.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 폭 확대 등으로 작년보다 2.2% 상승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9% 올랐다.
구입 빈도가 높은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2.5% 상승했다. 개인 서비스 물가도 여행비 등이 상승하면서 3.2% 올랐다.
정부는 "1분기 민생·경제 대응 플랜을 통해 일자리·서민금융·소상공인 등 분야별 개선 조치를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첨단전략산업기금 설치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