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애널리스트 대신 AI…신생 펀드, 시장 2배 수익률 내
기사 작성일 : 2025-02-14 16:00:59

뉴욕 증권거래소


[UPI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주종국 기자 = 애널리스트 대신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높은 투자수익률을 낸 신생 헤지펀드가 화제다.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아르미나 로젠버그(37)와 토머스 라이스(44)가 호주 시드니에 설립한 스타트업 헤지펀드 '미노타우르 캐피털'은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6개월간 전 세계 상장주식에 투자해 수익률 13.7%를 기록했다.

이 기간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글로벌 지수가 6.7% 상승한 것과 비교할 때 두 배 넘게 수익률이 높았다.

미노타우르 펀드에는 애널리스트가 없다. AI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

로젠버그는 펀드의 AI 비용이 초급 애널리스트 급여와 비교했을 때 '절반 정도'라고 밝혔다.

이 신생 펀드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은 매일 약 5천개의 뉴스 기사를 분석해 향후 3년 내에 2배, 혹은 10년간 10배 상승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특정 글로벌 주식을 골라 약 2천단어 분량의 보고서를 만들어낼 수 있다.

AI 관련 기술이 점점 더 정교해지면서 미노타우르를 비롯해 여러 헤지펀드가 AI를 활용하는 방법을 실험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이 장기적으로도 높은 수익률을 낼지는 아직 미지수다.

미노타우르 글로벌 오퍼튜니티 펀드는 전 세계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한다. 관리 수수료로 1.5%를 부과하며 수익이 날 경우 이에 대해 20%의 운용 수수료를 부과한다.

로젠버그는 이 펀드가 올해 말까지 약 3천100만 달러를 운용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로젠버그는 25세 때 기술 분야 억만장자 마이크 캐논-브룩스의 글로벌 주식 포트폴리오를 관리한 경험이 있다. JP모건에선 호주 소기업 분석 업무를 했다.

자산운용사 펀드 포트폴리오 매니저로 일했던 라이스는 마블 영화 추천 사이트를 만들어 자신만의 알고리즘을 적용하기도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