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美가 멕시코 마약조직 테러단체 지정시 美총기업체에 소송"
기사 작성일 : 2025-02-15 22:00:56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AF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황철환 기자 = 미국이 멕시코 마약 카르텔을 테러단체로 지정하려 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멕시코 측이 '상응 조처'에 나서겠다며 반발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국 총기제조업체들이 '조직범죄의 공범'으로 법적 조처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만약 그들(미국)이 이 범죄집단(카르텔)들을 테러범들이라고 선언한다면, 우리는 미국에 대한 소송을 확대해야만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총기업체들이 '테러 단체들'과 공모해 왔다는 혐의를 다루게 될 것이라면서 "변호사들이 이를 살펴보고 있다. 그들(총기업체)은 공범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 법무부 자료를 인용, 멕시코에 불법으로 반입되는 총기의 무려 74%가 미국에서 들어온다고 강조했다.

멕시코를 거쳐 미국으로 마약이 유입되는 문제와 관련한 미국 정부의 압박이 가중되자, 미제 총기가 멕시코에 밀반입돼 각종 범죄에 쓰이는 문제를 들춰내 '맞불'을 놓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전날 미 국무부가 멕시코, 콜롬비아, 엘살바도르, 베네수엘라의 범죄집단들을 '테러 조직'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 중에는 멕시코의 양대 마약 밀매 조직인 할리스코 뉴제너레이션(CJNG)과 시날로아 카르텔도 포함돼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취임 당일인 지난달 20일 마약 카르텔이 "전통적 조직 범죄를 넘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면서 이들을 해외 테러 조직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데 따른 것이다.

다만 미국 총기업체들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멕시코 측의 위협이 해당 업체들에 실질적 영향을 미칠지는 불확실하다.

이전에도 멕시코가 소송을 제기한 적이 있지만 미국 법원이 관할권이 없는 사건이라며 기각한 적이 있어서다.

당시 멕시코 정부는 미국에서 연간 20만∼75만정의 총기가 유입돼 범죄집단의 손에 들어가 다수의 사상자를 낳았다면서 6개 총기업체를 상대로 100억 달러(약 14조4천억원) 상당의 손해배상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불법이민자 및 마약 유입 문제 등을 이유로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다가 보완 조처를 약속받고 시행을 일단 30일 연기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멕시코만'의 명칭을 '미국만'으로 일방적으로 변경한 트럼프 대통령의 조처 등을 둘러싼 멕시코와의 갈등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