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심리 얼어붙자 커피·술부터 줄였다…카페 매출 10% 급감
박동주 기자 . 2024.5.12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금융기관에 빚(대출)을 진 소상공인(자영업자) 가게 10곳 중 1개꼴로 이미 문을 닫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평균 6천만원이 넘는 대출을 안고 비용을 최대한 줄여 고군분투하다가, 결국 평균 568만원의 원리금이 밀린 채 폐업을 선택했다.
특히 작년 4분기에 계엄 등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카페·술집을 운영하는 소상공인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개인사업자 대출 보유 사업장 폐업 현황
[한국신용데이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대출받은 가게 10개 중 1개꼴 문닫아…연체액 1년새 약 50%↑
17일 한국신용데이터의 '2024년 4분기 소상공인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말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을 안고 있는 사업장은 모두 362만2천개로 추산됐다.
이 가운데 86.7%(314만개)는 빚이 있어도 일단 정상 영업 중이지만, 13.3%(48만2천개)는 폐업(국세청 신고 기준) 상태였다.
폐업한 사업장의 평균 연체액은 568만원, 평균 대출 잔액은 6천185만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개인사업자의 대출 잔액은 716조원으로, 직전 3분기(712조원)와 전년 4분기(700조원)보다 각 0.5%, 2.3% 늘었다.
금융업권별 비중은 은행 대출이 60.5%,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이 39.5%를 차지했다.

개인사업자 대출 현황
[한국신용데이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밀린 개인사업자 대출 원리금 규모는 모두 11조3천억원으로, 직전 분기나 1년 전과 비교해 각 2.3%, 52.7% 불었다. 21.2%(2조4천억원)가 은행, 78.8%(8조9천억원)는 2금융권 연체였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17조1천억원) 대비 연체금액(9천억원) 비중이 5.0%에 이르렀다.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의 이 비중도 2.7%(5조9천억원/221조4천억원×100)로 은행권 0.6%(2조4천억원/433조2천억원×100)의 4배가 넘었다.
이 보고서는 한국신용데이터가 개인사업자 경영관리서비스 '캐시노트' 가입 사업장 16만개를 표본 조사한 뒤 소상공인 실태조사 등의 비중을 적용해 전체 개인사업자 현황을 추정한 결과다.
캐시노트를 통해 수집된 사업장별 여신금융협회·홈텍스 연동 데이터가 사용됐고, 대출 등 금융 현황의 경우 한국신용정보원으로부터 받은 개인사업자 대출 현황 자료도 활용됐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금액 현황
[한국신용데이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소비회복 기대에도 작년 매출 0.6%↓…비용 5% 줄여 이익은 15%↑
이처럼 자영업자들이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그만큼 경영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전체 소상공인 사업장 1개당 지난해 연간 매출은 1억7천882만원, 이익은 4천273만원으로 추계됐다.
전년과 비교해 매출은 0.57% 줄었지만, 이익은 14.71% 늘었다.
매출이 뒷걸음치고도 이익이 불어난 것은 소상공인들의 지출 축소 노력의 결과로 분석됐다.
작년 사업장당 연간 지출은 1억3천609만원으로 1년 사이 4.56% 줄었다.
4분기(10∼12월)만 따로 보면 매출은 4천798만원(월 1천599만원)으로 추산됐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7%, 직전 3분기보다 10.77% 늘었다.
사업장당 4분기 이익은 1천158만원(월 386만원)으로 1년 전, 3개월 전과 비교해 각 5.25%, 9.92% 증가했다.
한국신용데이터 관계자는 "자영업자들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소비가 수년간 크게 위축됐다가 2023년 다소 회복된 후 2024년 본격적으로 살아나기를 기대했다"며 "그러나 경기 부진과 계엄 등으로 연말 특수가 사라지면서 실제로 작년 매출이 2023년보다 더 적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정체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소상공인 연간 경영 지표
[한국신용데이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계엄 등에 4분기 카페, 술집, 예술·스포츠·여가업 '타격'
업종 중에서는 카페의 소비 위축 타격이 가장 컸다.
작년 4분기 외식업 가운데 카페 매출은 3분기보다 9.5%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1년 전보다도 1.3% 적었다.
패스트푸드와 술집 매출도 전 분기보다 각 1.8%, 1.7% 뒷걸음쳤다.
한국신용데이터 관계자는 "경제·정치 불안을 느낀 소비자들이 기호식품인 커피, 술 등부터 줄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이에 비해 양식(8.8%), 아시아음식(6.3%), 일식(5.5%), 중식(4.1%) 등 일반 식당의 매출은 3분기보다 다소 늘었다.
서비스업 중에서는 예술·스포츠·여가 관련업의 매출이 3분기보다 7.4%나 감소했다.
반대로 세무사·변호사업 등이 포함된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 매출은 30.1% 증가했고, 운수 서비스업도 10.3% 불었다.
유통업의 경우 슈퍼마켓·편의점 등 종합유통업의 매출이 0.1% 줄어 고전했지만, 반대로 가구·문구·안경·악기점 등이 포함된 전문유통점의 경우 12.4% 늘었다.

소상공인 업종별 매출 추이
[한국신용데이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관련 기사
코스피 美물가·관세 경계속 이틀째 상승 2,540대…코스닥 약세(종합)
필립모리스, 전자담배 '아이코스 일루마 i' 시리즈 전국서 판매
美연준 파월 "美 경제 강해…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종합)
이상기후에 과일 수입 늘어…작년 수입액 2조원 '최대'
[2보] 피치,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등급전망 '안정적'
당정 "직장내 괴롭힘 처벌 강화"…'오요안나법' 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