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같은 약물 검출에 신네르는 3개월, 스페인 피겨 선수는 6년 징계
기사 작성일 : 2025-02-18 10:00:50

얀니크 신네르


[EPA=]

김동찬 기자 = 남자프로테니스(ATP) 투어 단식 세계 랭킹 1위 얀니크 신네르(이탈리아)의 도핑 양성 반응에 대한 '솜방망이 징계' 논란이 더 뜨거워졌다.

지난해 3월 도핑 양성 반응이 나온 신네르에게 출전 정지 3개월 징계를 내린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최근 같은 약물이 검출된 스페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에게는 출전 정지 6년의 중징계를 부과했기 때문이다.

AP통신은 18일 "스페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라우라 바르케로가 합성 스테로이드 클로스테볼이 검출돼 WADA로부터 출전 정지 6년 징계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클로스테볼은 신네르의 도핑 양성 반응에서도 검출된 성분으로 단백질 합성을 빠르게 해 근육 발달과 조직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같은 약물이 검출된 두 가지 사안에서 한 명은 3개월, 또 한 명은 6년으로 징계 기간에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며 신네르의 '세계 1위 특혜 논란'이 더 커졌다.

바르케로는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처음 양성 반응이 나왔으며 6년 징계는 2028년 2월이 돼야 끝난다.

반면 신네르는 올해 2월부터 5월까지만 징계를 소화하면 5월 말 개막하는 메이저 대회 프랑스오픈에 출전할 수 있다.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출전한 바르케로(위)


[EPA=]

AP통신은 "WADA가 신네르와 바르케로 사례의 차이점을 설명했다"며 "바르케로의 경우 클로스테볼이 선수 신체에 들어간 상황이 명확히 설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WADA의 입장을 전했다.

WADA에 따르면 "도핑 양성 성분이 바르케로의 몸에 어떻게 들어갔는지에 대한 설명이 증거에 비춰볼 때 설득력이 없다고 판단했다"며 "그렇기 때문에 이는 신네르 사례와 완전히 다른 경우"라고 밝혔다.

반면 신네르 사례에서는 선수의 설명을 증거를 통해 명확히 확인했다는 것이다.

신네르는 물리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물리치료사의 부주의로 클로스테볼 성분이 몸 안에 들어갔다고 해명한 바 있다.

또 WADA는 "바르케로의 6년 징계는 WADA와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선수 자신이 모두 합의서에 서명한 결과"라며 "만일 바르케로가 이 징계에 동의하지 않았다면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 판결을 구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