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환자단체들 "필수의료 공백 차단법 필요…피해 조사기구 발족"(종합)
기사 작성일 : 2025-02-19 17:00:40

한국중증질환연합회 의료대란 1년 기자회견


[한국중증질환연합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성서호 기자 = 의정 갈등이 1년째 이어지는 가운데 환자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등 8개 단체가 소속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19일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해결책은 나오지 않고 원점 논의만 반복됐으며, 정부와 의료계는 환자들의 고통과 피해를 방치하고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겼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치권과 일부 시민단체는 환자들의 생명·건강권보다 인력수급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번 사태로 예상되는 초과 사망 문제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최우선으로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환자 피해 조사 기구를 발족하고 명확한 조사를 시행해 사태의 심각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며 "제2의 전공의 사직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중환자실·응급실 공백을 막기 위한 법적 장치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한국백혈병환우회 등 10개 단체가 소속된 한국환자단체연합회도 이날 "의료인들이 집단행동을 할 때도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만큼은 정상 작동할 수 있게 하는 법안을 발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서를 제출한 지 1년을 맞은 이날 성명을 내고 "지난 1년간 사상 초유의 장기간 의료공백이 이어지면서 환자들은 큰 피해를 봤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이들은 "문제는 환자가 필요로 하는 의사를 늘리는 데 있는데, 정부와 의사 집단 간 줄다리기 속에서 그런 희망을 찾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팽창하는 개원가, 일부 상급종합병원의 초대형화, 상업화된 의료 환경, 소위 '인기과'와 '기피과'의 양극화, 지역의료 붕괴와 공공의료 부족 등 모든 것이 뒤섞인 결과 우린 앞으로도 살릴 수 있는 환자의 목숨을 죽게 내버려 두는 의료현장을 손 놓고 지켜봐야 할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의료인 집단행동 시에도 응급실·중환자실 등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의료 공백 방지 법안'을 신속히 발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환자들의 피해보상을 위해 필요한 의료대란 피해보상 특별법안과 환자 중심의 보건의료 환경 조성을 위한 환자기본법 제정안을 신속히 통과시켜야 한다"며 "빠른 입법을 통해 객관적이고 공정한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구성해 의정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