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한은 뉴욕사무소 "AI 기술 발달, 통화정책 불확실성 더 높일 것"
기사 작성일 : 2024-06-27 05:00:15

인공지능


[로이터 자료사진]

(뉴욕= 이지헌 특파원 = 인공지능(AI) 기술의 사용이 인플레이션을 낮추고 중립금리는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은 오히려 더 높일 수 있다고 한국은행 뉴욕사무소가 26일(현지시간) 진단했다.

한은 뉴욕사무소는 이날 한국 언론 뉴욕특파원 간담회에서 공개한 '2024년 하반기 미국 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 보고서에서 AI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주요 투자은행(IB)의 연구 결과 검토를 바탕으로 이처럼 분석했다.

보고서는 AI 기술 발달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노동생산성 향상과 물류시스템 등 공급망 개선으로 생산비용이 하락함에 따라 AI가 인플레이션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BNP파리바 보고서를 인용, AI로 인해 노동생산성이 1%포인트 증가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대 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특히 생산성 향상이 가속하는 AI 기술 확산 시기에 인플레이션 하방 압력이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가지수 세부 항목별로는 의료·산업 및 소비자 서비스가 AI 발달로 인해 인플레이션 하락에 가장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보고서는 AI로 인한 생산성 증가가 투자수요를 끌어올려 중립금리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중립금리란 인플레이션을 가속하지 않으면서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실질) 금리 수준을 말한다. 다만, 실제 현실에서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이론적 개념으로, 경제모형 등을 통해 추정만 할 수 있다.


챗GPT 로고


[EPA 자료사진]

보고서는 "미국의 중립금리는 생산성 증가 변동과 높은 양( )의 상관관계를 보여왔다"며 "특히 정보기술(IT) 혁신에 따른 생산성 증가가 본격화된 1990년대 후반 이후 중립 금리가 생산성과 함께 급격히 상승했다"라고 설명했다.

AI로의 전환이 생산성을 높이는 투자 확대로 이어진다면 중립금리를 높이고 이에 따라 실질금리도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다만, AI가 인플레이션은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실질금리는 높이는 요인으로 각각 상반되게 영향을 미치면서 통화정책 수행의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보고서는 "중립금리는 일반적으로 중앙은행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판단하는 중요한 준거 기준이 되는데, AI의 상반된 영향은 통화정책 수행에 복잡성을 더할 수 있다"며 "이는 중앙은행 입장에서 선제적 대응보다는 사후적인 대응에 나설 가능성을 높여 금리 사이클의 변동성을 증폭시킬 위험이 있다"라고 말했다.

다만, AI가 거시경제 환경을 변화시킬 잠재력이 있다는 점은 분명하지만, 아직 AI 전환이 초기 단계에 있어 생산성, 노동시장, 인플레이션 등에 미칠 영향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면서 "그 효과를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로 보인다"라고 언급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