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가구소득 '역대 최대폭' 6.3%↑…2030가구 1% '찔끔' 8년來 최소
기사 작성일 : 2024-12-09 12:01:11

가구소득 6.3%↑ '역대 최대폭'…2030가구는 1% 증가 그쳐 (CG)


[TV 제공]

(세종= 민경락 기자 = 지난해 근로·사업소득 증가에 힘입어 가구 평균소득이 역대 최대 폭으로 늘었다.

하지만 청년가구의 소득 증가율은 물가 상승률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니계수 등 소득 분배 지표는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였지만 은퇴연령층 남성의 상대적 빈곤율은 상승했다.


종부세 고지서 분류 작업하는 우체국 관계자


이정훈 기자 = 국세청이 종합부동산세 고지서 발송을 시작한 26일 오후 서울 서초우체국에서 관계자가 종부세 고지서 분류 작업을 하고 있다. 2024.11.26

◇ 재산소득 증가세 두드러져…소득 비중 6.4→7.8% 상승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 평균소득은 7천185만원으로 전년(6천762만원)보다 6.3% 증가했다. 2011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소득 부문별로 보면 근로·사업·재산소득 모두 늘었지만 특히 재산소득이 크게 뛰었다.

가구소득 중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4천637만원으로 전년보다 5.6% 늘었다. 사업소득은 전년보다 5.5% 늘어난 1천272만원이었다.

재산소득은 559만원으로 28.1% 치솟았다.

재산소득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늘면서 재산소득이 전체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4%에서 7.8%로 상승했다.

가구주 연령별 소득은 40대가 9천83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8천891만원), 39세 이하(6천664만원) 등 순이었다.

증가율을 보면 60세 이상(10.0%)이 가장 높았고 40대(8.2%), 50대(5.8%) 등이 뒤를 이었다.

39세 이하 가구 소득은 전년보다 1.1% 늘어나는 데 그쳐 2015년(1.0%) 이후 8년 만에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작년 물가 상승률(3.6%)의 3분의 1도 안되는 수준이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1인 가구가 30대 이하에서 많이 늘어난 점이 주된 이유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지난해 전체 고용 지표 호조세에도 청년층은 부진했던 점도 2030가구 소득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전년보다 9만8천명 감소했고 고용률(46.5%)도 0.1%포인트(p) 하락했다.

상용근로자 가구의 근로소득은 7천842만원, 자영업자 가구의 사업소득은 4천680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값 빈부격차 역대 최대


임화영 기자 = 최근 서울 아파트 거래가 늘고 가격이 오른 가운데 고가 아파트와 저가 아파트 간 가격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시장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5분위 배율은 5.27로 집계됐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5분위 배율은 주택을 가격순으로 5등분해 상위 20%(5분위)의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고가 주택과 저가 주택 사이의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8월 서울의 상위 20% 아파트값은 평균 25억7천759만원이었고, 하위 20% 아파트값은 평균 4억8천873만원이었다. 사진은 27일 서울 시내 아파트. 2024.8.27

◇ 근로·은퇴연령층 지니계수 모두 개선

세금·사회보험료·이자 등 가구의 평균 비소비지출은 1천321만원으로 전년보다 3.2% 늘었다.

공적연금·사회보험료(440만원), 세금(430만원), 이자비용(260만원) 등 순으로 지출이 많았다. 고금리 여파로 이자비용은 전년보다 5.3% 늘며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는 83.0%였고 예상 은퇴 연령은 68.3세였다.

은퇴 후 가구주와 배우자의 월평균 적정 생활비는 336만원으로 조사됐다. 전년보다 11만원 늘었다.

지난해 소득분배 상황은 전반적으로 전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근로연령층의 지니계수는 0.302로 전년보다 0.001p 하락했다. 은퇴연령층의 지니계수도 0.003p 하락한 0.380을 기록했다.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0이면 완전 평등, 1이면 완전 불평등을 뜻한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근로연령층의 5분위 배율은 4.93배로 0.05배p 감소했다. 은퇴연령층은 7.11배로 전년과 동일했다.

소득 5분위 배율은 상위 20% 소득의 평균값을 하위 20%의 소득의 평균값으로 나눈 소득 분배 지표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남성의 상대적 빈곤율은 13.1%로 전년보다 0.1%p 상승했다. 여성은 16.7%로 동일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은퇴연령층(66세 이상) 남성의 상대적 빈곤율은 33.3%로 전년보다 0.6%p 상승했다. 은퇴연령층 여성은 44.8%로 0.2%p 감소했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소득의 50%에 속한 인구를 전체 인구로 나눈 비율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