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정부, 올해 성장률 1.8% 전망…수출 악화로 반년만에 0.4%p↓
기사 작성일 : 2025-01-02 11:01:19

한국경제 상승 전망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세종= 이대희 기자 = 정부가 수출 부진 우려에 따라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이 1.8%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연령인구 감소폭 확대와 경기흐름 약화로 취업자수 증가폭도 작년보다 축소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부진했던 민간소비는 가계 실질구매력 개선으로 올해는 다소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래픽] 2025 주요 기관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김민지 기자 =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 주요 국제기구·한은보다 낮은 정부 올해 성장률 전망

정부는 2일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년대비 1.8%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작년 2.1%(이하 작년 수치는 예상치)보다 0.3%포인트(p) 낮아진다고 예상한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7월 '2024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발표한 올해 전망치 2.2%에서 반년 만에 0.4%p 낮췄다.

정부의 올해 전망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1%), 국제통화기금(IMF·2.0%), 한국개발연구원(KDI·2.0%), 아시아개발은행(ADB·2.0%), 한국은행(1.9%)보다 낮다.

올해 성장 전망치를 크게 낮춘 주요인은 수출 악화 우려다.

정부는 반도체 등 주력업종 경쟁 심화, 트럼프 정부 출범 후 미국 통상정책 전환에 따른 하방요인 등으로 올해 수출 증가율이 지난해(8.2%)보다 크게 축소된 1.5%가 될 것으로 봤다.

비상계엄 사태나 탄핵 정국 지속이 성장률에 미친 영향에 관해선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작년 예상치에는 반영했다"며 "올해 전망에는 과거 탄핵 등 정치 이벤트 영향이 제한적이었다는 시각에서 불확실성을 잘 관리한다는 전제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한은보다 성장률 전망을 더 낮춘 점을 두고는 김재훈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올해 감액 예산을 일부 반영했으며, 작년 4분기 지표들이 예상보다 낮아져 기저효과로 작용하는 점을 고려한 것"이라며 "상반기 신속집행 등을 통해 쿠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그는 "1.8%는 올해 경제정책방향에 담겨 있는 각종 정책을 반영하기 전 전망으로, 정책을 추진해 경기를 더 보강할 수 있게 하겠다는 의미"라며 "다만 미국 신정부 정책 등에 따른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필요할 경우에는 추가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한국 경제 (PG)


[양온하 제작] 일러스트

◇ 민간소비, 작년 1.2%→올해 1.8%…"실질구매력 개선"

정부는 작년 1.2% 증가로 회복이 더딘 민간소비가 올해에는 1.8% 증가하면서 완만하게 회복되리라고 전망했다.

작년에는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이자지출 증가 등 영향이 누적되면서 재화소비를 중심으로 회복이 더뎠는데, 올해에는 가계 실질구매력이 개선되면서 점차 회복되리라고 봤다.

다만 역시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과 높은 가계부채 수준 등이 개선 폭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김재훈 국장은 "계엄·탄핵에 따른 불확실성은 주로 소비 경로를 통해 나타날 텐데 아는 작년 4분기 데이터에 이미 반영이 돼 있다"고 말했다.

설비투자는 작년 1.3% 성장에서 올해 2.9% 성장으로 개선될 것으로 정부는 봤다.

반도체 첨단공정 전환 수요·운송장비 이연물량 순차 도입·통화긴축 완화 등으로 증가가 전망되지만, 수출 둔화와 미국 신정부 통화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우려도 있다고 예상했다.

연구개발(R&D) 예산 확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수요 증가 등으로 지식재산생산물투자도 지난해 0.6% 성장에서 올해 3.8% 성장으로 호전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건설투자는 작년(-1.5%)과 마찬가지로 -1.3%로 역성장하는 등 부진이 계속될 것으로 정부는 바라봤다.

2023년 수주·착공 감소 영향이 실적에 계속 반영된 것으로, 올해 하반기 이후에는 점차 부진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고용 시장(CG)


[TV 제공]

◇ 취업시장 더 얼어붙나…지난해 17만명→올해 12만명 전망

올해 고용 시장은 생산연령인구 감소 폭 확대, 경기흐름 약화 등으로 지난해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정부의 예상이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가 12만명 늘어날 것으로 봤다. 작년 예상치 17만명보다 5만명 적다.

2022∼2023년 호조였던 고용은 건설업 감소세가 지속되며 지난해 2분기부터 조정흐름을 보였다.

올해에는 서비스업에서 IT·돌봄수요 확대로 증가세가 계속되겠지만, 건설업·제조업은 건설·수출 둔화 영향으로 감소할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다만 여성·고령층 경제활동 확대로 고용률은 올해 62.8%로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공행진을 벌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2.3%에서 올해 1.8%로 떨어져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정부는 봤다.

국제유가 등 공급자 측 물가상승 압력이 높지 않은 가운데 경기적 요인에 따른 압력도 제한적일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기상여건에 따른 원자재·농산물 가격 변동성·환율 등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올해 경상수지는 수출 증가세 둔화와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수입 증가 제약이 함께 작용해 800억달러 흑자를 나타낼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지난해 예상치는 900억달러다.


[그래픽] 2025 정부 경제 전망


김민지 기자 =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