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동규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7일 동해 심해 가스전 프로젝트의 대왕고래 유망구조에는 가스가 없었지만, 주변의 다른 6개 유망구조에 가스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추가 시추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국부에 관련된 이번 프로젝트에 국회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해외 석유 메이저 및 국내 기업 투자를 유치해 가스전 시추 사업을 이어가고자 한다고 했다.
안 장관은 이날 오후 YTN 뉴스PLUS에 출연해 대왕고래 1차 탐사시추 초기 분석 결과에 관해 설명했다.
전날 정부는 동해 심해 가스전 프로젝트의 7개 유망구조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대왕고래 유망구조의 1차 탐사시추 결과 가스 징후가 일부 포착됐지만 경제성 있는 가스전으로 개발할 수준에는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잠정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안 장관은 이에 대해 "눈으로 확인했을 때 가스나 석유가 터져 나오지 않아 현재 기준으로 경제성은 없다고 말씀드렸다"면서도 "가스가 지금 여기(대왕고래)에는 없지만, 매장됐던 가스가 여기를 지나간 경우에는 옆에 있는 6개 유망구조 부근에 있을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말했다.
그는 물리탐사를 통해 확인한 '땅속 가스통'에 비유할 수 있는'석유 시스템'이 이번 탐사시추로 확인됐다는 점에 우선 의의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상당히 양호하게 구성돼 있었다"며 "가스의 징후가 좀 있기 때문에 이 가스의 징후가 어떻게 흘러간 건지, 유래가 어떻게 됐는지, 이동 경로가 어떻게 됐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나머지 유망 구조의 후속 탐사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석유·가스 시추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동해 심해 가스전 전체가 하나의 가스통처럼 형성된 것이라면 다른 곳을 파볼 필요가 없겠지만, 분리된 구조라면 탐사시추 필요성이 높은데 나머지 6개 구조는 대왕고래 구조와 깊이가 다르다는 게 안 장관의 설명이다.
안 장관은 해외 오일 메이저를 상대로 투자 유치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밝히면서 국부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외 오일 메이저의 투자에 전적으로 의존하면 한국은 투자 부담을 크게 낮출 수는 있다. 하지만 만일 훗날 개발이 크게 성공하게 정부가 거두는 조광료 외에 개발 이익을 확보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안 장관은 "지금 해외 유력 메이저들이 관심을 보이는 유망 구조가 조금씩 다르다"면서 "모든 개발비를 해외 투자자들에게만 의존하면 나중에 개발이 됐을 때 국부 유출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국회에서 허락해 주신다면 정당하게 우리 예산으로 참여해 합당한 국부를 지키며 자원 개발을 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조만간 이번에 찾은 유망구조를 해외 유치가 가능한 형태로 조광권을 새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해외 투자 유치 작업을 계획한 대로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국회에서 예산 승인이 나지 않는 경우에는 "100% 외자 유치로만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될 수도 있지만, 국내 기업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중요한 국부와 관련된 사업인 만큼 여야가 합의해 정당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세계 최대 유전으로 평가받는 남미 가이아나 유전은 14번째 시추공을 뚫으면서, 노르웨이의 에코피스크 유전은 33번 만에 시추에 성공한 사례를 언급하면서 "대부분 해외 유전 개발 사업들이 (초기) 시추를 통해 확보한 시료를 분석해 기존 물리탐사 자료의 오차를 보정하고 성공률을 계속 높여가는 작업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1차 시추공에서 경제성 있게 가스가 안 나왔다고 해서 나머지 사업이 실패하는 건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야당을 중심으로 '반대를 무릅쓰고 시추를 강행하더니 1천억원만 날렸다', '대국민 사기극이다' 등의 비판이 일고 있다는 질문에 안 장관은 "연구개발(R&D) 사업에 1천억원을 투자해 결과가 안 나오면 사기극이라고 얘기하지 않는다"고 비유했다.
그는 "이번에 1천억원이 들었지만, 해저 심층 지층 구조에 대한 매우 귀한 1천700여개 넘는 시료를 확보했고, 이를 분석해 6개 혹은 추가로 더 나올 수 있는 유망구조들을 오차 보정을 통해 향후 후속 탐사의 성공률을 높여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안 장관은 "이번 1차 탐사는 동해 가스전 탐사의 시작이라 볼 수 있고, 우리 국토 내 유망한 자원을 개발하는 사업을 시작한 것으로, 그렇게까지 비관적으로 볼 상황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튜브로 보기
https:https://youtu.be/CIUD717xSx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