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허사비스·르쿤, 딥시크 평가 절하…"판 흔들 정돈 아냐"(종합)
기사 작성일 : 2025-02-10 23:00:59


파리에서 열리는 'AI 액션 서밋'에 참석하는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 [AP ]

문관현 기자 =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가 "아마도 중국에서 나온 최고의 작품이겠지만 새로운 과학적 진보는 없었다"고 평가했다고 미 경제 매체 CNBC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사비스 CEO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AI 국제 정상회의를 앞두고 이날 구글 주최 행사에서 딥시크가 "매우 훌륭한 엔지니어링을 할 수 있으며 지정학적 규모에서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술적 관점에서 볼 때 큰 변화는 아니라고 봤다.

그는 "실제로 새로운 과학적 진보는 없으며 (AI 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면서 딥시크를 둘러싼 열풍(hype)이 "약간 과장됐다"고 평가했다.

인간 수준 또는 그 이상의 범용인공지능(AGI)의 등장 시기와 관련해서는 "가까이 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5년 정도 남았을지도 모른다"고 전망했다.

또 사회가 이에 대비해야 한다면서 "그것에서 우리가 혜택을 얻고 사회 전체가 혜택을 누리도록 하는 동시에 일부 위험은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초 보도된 블룸버그 통신과 인터뷰에서 "아마 이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임기에 AGI가 개발될 것으로 생각하며 이를 올바르게 구현하는 것은 정말 중요해 보인다"는 견해를 내놓기도 했다.


얀 르쿤 메타 부사장


[AFP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얀 르쿤 메타 부사장 겸 AI 수석과학자 역시 딥시크에 대해 허사비스 CEO와 비슷한 의견을 냈다.

그는 10일 프랑스 BFM 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딥시크가 AI 세계를 뒤흔들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르쿤 부사장은 "물론 진전은 맞는다"면서도 "AI 분야의 인재는 전 세계에 퍼져 있다. 이것이 오픈 소스의 강점으로, 누구도 좋은 아이디어를 독점하지 않으며 누구도 다른 사람보다 크게 앞서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제품 수준에서는 앞설지 모르지만 기본적인 기술 수준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평가했다.

르쿤 부사장은 "딥시크가 모든 코드와 비밀을 완전히 공개하고 모든 기술을 설명하는 기사를 내 우리 연구소에서도 이 기술들을 몇 주 만에 재현해냈다"고도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이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며 "이제 더는 중국과 미국 또는 유럽 간 지정학적 경쟁의 문제가 아니라 연구·개발에서 개방적인 세계와 독점적인 세계의 문제"라고 내다봤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