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잘 나가던 아시아, 트럼프발 무역전쟁에 '더블 악재'
기사 작성일 : 2025-02-12 15:00:56

슈퍼볼 관람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자료사진]

차병섭 기자 = 아시아 신흥국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및 미중 무역전쟁 심화로 피해를 보는 '루즈-루즈'(lose-lose)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1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우선 무역적자 절대 규모가 큰 국가들(중국·캐나다·멕시코)을 무역전쟁의 첫 타깃으로 삼았지만 미국의 상품무역 적자 상위 15개국 가운데 9개국이 아시아 국가라면서 이같이 평가했다.

아시아 신흥국들은 경제 규모 대비 대미 무역흑자가 많은데, 트럼프 행정부가 높은 관세를 매길 경우 성장·투자·내수 등에서 모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시티그룹 자료에 따르면 특히 태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출범한 2017년 당시와 비교해 대미 무역흑자가 343% 급증했고, 베트남도 222%나 늘었다.

로이터는 또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미 무역흑자 규모는 중국의 2배 이상이며, 대만은 대미 무역흑자가 GDP의 10%에 육박한다고 짚었다.

보수 싱크탱크인 헤리티지 재단이 지난해 미 대선 당시 발표한 국정과제 제언집 '프로젝트 2025'에서는 미국과의 양자 교역에서 상대적으로 대미 관세가 높은 국가로 인도·태국·대만·베트남 등의 아시아 국가들이 거론된 바 있다.

노무라홀딩스 분석가들은 "아시아 신흥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상호 관세에 따른 위험이 크다"며 "아시아 국가들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모건스탠리는 미국이 관세 격차를 줄이기 위해 인도·태국에 관세율을 4∼6%포인트 높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 자료사진]

로이터는 아시아 신흥국들이 그동안 미국의 '중국 플러스 원'(China Plus One), 중국의 '미국 플러스 원'(US Plus One) 전략에 따라 수혜를 봐왔다고 평가했다.

미국 기업들은 중국에 직접 투자하기보다는 중국과 경제적으로 밀접한 제3국에 투자하는 '중국 플러스 원' 전략을 써왔다.

이러한 추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강화됐다는 게 로이터의 설명이다.

중국은 '미국 플러스 원' 전략을 채택, 미국의 정책 변화에도 세계 시장 점유율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JP모건 자료를 보면 중국의 전체 수출에서 미국 비중은 2000년 21%에서 2023년 16%로 내려간 반면 신흥국 비중은 16%에서 44%로 급증했다.

특히 미중 갈등 속에 최근 몇년간 투자 혜택을 본 태국과 베트남은 미중 무역전쟁 격화에 따른 유탄을 맞을 가능성도 있다고 로이터는 봤다.

양국은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내놓으며 미국 공세에 대비하고 있다.

태국은 미국산 에탄 수입을 최소 100만t 늘리도록 석유화학기업들에 요청했으며, 사료용 콩가루 등 미국산 농산물 수입도 확대할 예정이다. 베트남도 미국산 항공기, LNG 등의 수입을 늘릴 방침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