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대가야 정치·문화 중심지…경북 고령군 5번째 '고도' 됐다
기사 작성일 : 2025-02-18 10:01:22


고령 시가지와 주산성 전경[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황희경 기자 = 5∼6세기 가야 북부 지역을 통합하면서 성장한 대가야의 흔적이 남아있는 경북 고령군이 고도(古都)가 됐다.

국가유산청은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을 일부 개정해 고령 대가야를 신규 고도로 지정했다고 18일 밝혔다.

고도는 과거 우리 민족의 정치·문화 중심지로서 역사상 중요한 의미를 지닌 지역을 의미한다.

2004년 3월 '고도 보존에 관한 특별법'(현재 '고도 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경주와 부여, 공주, 익산 등 4곳이 고도로 지정된 데 이어 21년 만에 고령이 다섯번째 고도가 됐다.

고도 지정으로 지역 내 주거 환경이나 가로 경관 개선 사업을 지원받을 수 있고 세계유산 탐방거점센터 건립과 유적을 활용한 역사문화공간 조성 사업도 추진할 수 있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가야는 고대 한반도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에 버금갈 정도로 발전된 국가로, 5세기 후반에는 합천, 거창, 함양, 산청, 하동, 남원, 순천, 광양 등지까지 영역이 확장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령은 그중에서도 대가야의 정치·문화 중심지로, 대가야의 궁궐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궁성 터를 비롯해 왕궁을 방어하던 산성, 수로 교통 유적, 토기 가마 등이 남아 있다. 또 수백 기의 무덤이 모여 있는 지산동 고분군은 대가야의 위상을 보여주는 유적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5∼6세기 대가야의 공예 수준을 보여주는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은 현재 보물로 지정돼 있다.

국가유산청은 "신규 고도 지정으로 국가유산 보존정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마련됨과 동시에 고도의 보존·육성에 대한 정책 기조를 확대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보물)[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