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작년말 가계빚 1천927조원 최대…'영끌'에 4분기 주담대 12조↑
기사 작성일 : 2025-02-18 13:00:21

작년 4분기 가계빚 1천927조원 '최대'…영끌 등에 주담대 11.7조↑


신현우 기자. 2024.5.9

신호경 기자 = 지난해 4분기(10∼12월)에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이 이어지면서 작년 말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전체 가계 빚(부채)이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다만 3분기보다는 주택 거래가 줄고 은행권과 금융당국도 가계대출 관리에 나서면서 가계 빛 증가 속도는 더뎌졌다.

한국은행이 18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927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3분기 말(1천914조3천억원)보다 13조원 많고,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가계신용 추이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에서도 2023년 2분기( 8조2천억원)·3분기( 17조1천억원)·4분기( 7조원) 계속 늘다가 작년 1분기 들어서야 3조1천억원 줄었지만, 곧바로 다시 세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4분기 증가 폭( 13조원)은 3분기( 18조5천억원)보다 줄었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4분기 말 잔액이 1천807조원으로 전 분기 말(1천796조4천억원)보다 10조6천억원 불었다. 역시 3분기( 16조7천억원)와 비교해 증가 폭은 축소됐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천123조9천억원)이 11조7천억원 증가했다.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잔액 683조1천억원)의 경우 1조2천억원 줄어 13분기 연속 뒷걸음쳤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966조1천억원)이 석 달 사이 6조9천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이 7조3천억원 불었지만, 기타 대출은 4천억원 줄었다.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10조3천억원)은 6조원 증가했다. 2022년 3분기 감소세로 돌아선 뒤 지난해 3분기까지 9분기 연속 뒷걸음치다가 4분기에 반등했다.

특히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주택담보대출이 7조원 급증했다.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1조원 줄었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잔액 530조6천억원)은 2조4천억원 감소했다. 보금자리론 등이 상환되고 증권사 신용공여가 감소세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4분기 가계신용 가운데 판매신용 잔액(120조3천억원)은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 위주로 2조4천억원 증가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앞서 작년 3분기 중 가계신용이 크게 늘었지만, 주택 거래가 7월을 정점으로 줄어들고 9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등도 이어지면서 4분기 가계대출 증가세가 안정됐다"고 설명했다.

작년 연간으로는 가계신용이 2.2%(41조8천억원) 증가했다. 2021년(7.7%) 이후 최고 증가율 기록이다.

하지만 김 팀장은 "지난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6% 이상 성장했기 때문에, 작년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3년 연속 하락이 확실시된다"며 "가계부채 비율의 점진적 하향 안정화라는 정부와 한은의 목표에 부합하는 흐름"이라고 밝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