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LG엔솔, 올해 북미 ESS LFP 생산 본격화…"수요 선제 대응"
기사 작성일 : 2025-02-18 17:00:16

장하나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이 올해 하반기부터 미국 현지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 라인을 본격 가동한다.

이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는 북미 ESS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 모습


[LG에너지솔루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LG에너지솔루션은 18일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의 ESS 생산설비 투자를 위한 2조319억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진행했다고 공시했다.

이를 통해 미시간 홀랜드 공장 내 증설 부지를 ESS 라인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상반기 중으로 가동 준비를 마치고, 하반기부터 양산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오는 2026년부터 미국이 중국산 ESS 배터리에 대한 수입 관세를 상향 조정할 예정이어서 배터리 업계는 내년부터 북미 현지 생산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3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LFP ESS셀의 에너지 밀도를 개선해 미국에서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며, 이에 더해 ESS 통합 시스템 설루션에 고도화된 에너지 관리 소프트웨어까지 탑재해 고객에게 더욱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 모습


[LG에너지솔루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제너럴모터스(GM)와의 합작법인(JV)인 얼티엄셀즈의 3기 공장 매입을 위한 3조6천27억원 규모의 채무 보증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얼티엄셀즈 3기 미시간 랜싱 공장 인수 계약 체결 시 예상되는 인수 대금에 대한 채무 보증 건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구체적인 계약 조건과 구매 대금 등 세부 내용을 확정하는 대로 본계약 체결을 완료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공시에서 "얼티엄셀즈 3기 미시간 랜싱 공장 인수를 검토 중"이라며 "해당 공장을 인수해 북미 전기차(EV) 수요 대응 등에 활용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결정으로 LG에너지솔루션이 추가 신규 공장 건설에 대한 부담을 덜고, 기존 준비 중인 생산 시설을 활용해 고객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생산 시설 '리밸런싱'을 통해 시설 투자와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전반적인 북미 캐파(생산능력)를 재배치해 운영 효율성을 제고하고, 불필요한 비용을 줄여 전체 시설투자(캐펙스·CAPEX)를 감축한다는 취지다.

업계 관계자는 "LG에너지솔루션은 경쟁사 대비 많은 제품 포트폴리오와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며 "이는 전반적인 리밸런싱을 통해 투자·운영 효율성을 높여 현재의 일시적 위기를 유연하게 헤쳐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갖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 측은 이번 채무보증으로 인한 추가적인 재무 부담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올해 생산시설 투자는 작년보다 20∼30% 축소해 집행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발표는 올해 집행 예정인 캐펙스 계획에 포함된 내용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