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건설근로자 10명 중 3명 "최근 1년 이내 임금체불 경험"(종합)
기사 작성일 : 2024-09-02 12:00:17

서울의 한 아파트 재건축 현장.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 자료사진]

고미혜 기자 = 건설경기 부진 속에 건설 근로자들의 연간 근무 일수와 소득이 2년 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근로자 10명 중 3명은 최근 1년 사이에 임금체불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

건설근로자공제회는 최근 1년 이내 퇴직공제제도 가입 이력이 있는 건설 근로자 1천319명을 대상으로 지난 4∼6월 '2024년 건설근로자 종합생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2일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건설 근로자들의 평균 연령은 51.8세로, 평균 39.4세에 처음 건설업에 입문해 13.1년을 일했다.

평균 연령은 직전 조사인 2022년(53.1세)보다 낮아졌지만, 60세 이상의 비율은 29.2%에서 33.5%로 늘었다. 3명 중 1명이 60세 이상인 것이다.

근로자들이 생각하는 평균 은퇴 나이는 66세로, 역시 2022년 조사 때보다 3년 늘어났다.

근로자들의 평균 일당은 18만3천원, 연 소득은 3천592만원으로 조사됐다.

2022년과 비교해 일당은 2천200원 상승했으나 연간 소득은 88만원 하락했다.

건설경기 부진 속에 연간 근무 일수가 217.2일로, 2년 전보다 6.5일 줄어든 것이 연 소득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1년 이내 임금지급 지연(체불)을 경험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엔 29.5%가 그렇다고 답했다. 2년 전보다 5.0%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체불 사례 중엔 1∼2주 뒤에 지급하는 경우가 57.3%로 가장 많았지만, 2개월 이상 소요된 경우도 15.9% 있었고. 4.4%는 "아예 못 받았다"고 답했다.

건설 근로자들은 임금체불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상습 체불 사업장 처벌 강화'(47.3%), '임금체불 진정제도 개선'(21.3%), '현장 감독·관리 강화'(15.4%) 등을 꼽았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83.3%는 "건설 현장에서 체감적으로 외국인 근로자가 증가했다"고 답했다.

실제로 건설근로자공제회의 퇴직공제 피공제자 통계를 보면 지난 3월 기준 외국인 비율은 16.2%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높아졌다.

국민연금과 건설근로자 퇴직공제 외에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33.0%만 그렇다고 답했고, 67.0%는 하고 있지 않았다.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83.0%가 '여력·능력이 없어서'라고 답했다.

자신의 노후 준비 상황에 대해서도 81.8%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노후 준비를 위해 가장 강화해야 할 정책으로는 '은퇴 이후 일자리 확대 정책'(37.0%)을 가장 많이 꼽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