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참사기 충돌 구조물이 피해 키웠나…국토부 "사고 관련성 조사"(종합3보)
기사 작성일 : 2024-12-31 00:01:10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로 파손된 무안공항 방위각 시설


(무안= 서대연 기자 = 30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인근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전날 제주항공 여객기와의 충돌 여파로 파손돼 있다. 방위각 시설은 공항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안테나로, 흙으로 된 둔덕 상부에 있는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서 있는 구조다. 2024.12.30

(무안·서울·세종= 형민우 김보경 임성호 기자 = 무안국제공항에 설치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과 이를 지지하기 위해 지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만들어진 콘크리트 구조물(둔덕)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공항 측과 국토교통부는 아래로 기울어진 비(非)활주로 지면과 활주로와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콘크리트 둔덕을 세워 돌출된 행태로 보이는 것이라며 사고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는 조사 결과에 따라 판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30일 무안국제공항과 국토부에 따르면 여객기의 착륙을 돕는 역할을 하는 안테나인 로컬라이저와 콘크리트 둔덕은 공항 활주로 끝에서 250m가량 떨어진 비활주로에 설치됐다.

이중 콘크리트 둔덕은 2m 높이로, 흙더미로 덮여 있었다. 로컬라이저까지 포함하면 모든 구조물은 4m 정도 높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항 측은 지난해 로컬라이저를 교체하며 이러한 콘크리트 둔덕을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공항 측은 "로컬라이저의 내구연한(15년)이 끝나 장비를 교체하면서 기초재를 보강했다"고 설명했다.

또 활주로 끝단 이후 지면이 기울어져 둔덕을 세워 수평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로 파손된 무안공항 방위각 시설


(무안= 서대연 기자 = 30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인근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전날 제주항공 여객기와의 충돌 여파로 파손돼 있다. 방위각 시설은 공항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안테나로, 흙으로 된 둔덕 상부에 있는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서 있는 구조다. 2024.12.30

로컬라이저가 활주로의 중앙선과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배치돼야 항공기가 제대로 중앙 정렬을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고 피해가 커지면서 둔덕이 지상으로 2m가량 돌출된 것이 여객기와의 충돌 피해를 키웠다는 주장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활주로 끝에서 로컬라이저가 있는 둔덕까지의 거리(251m)가 짧은 것이 피해 규모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인천과 김포 등 다른 국제공항은 이 거리가 대부분 300m 이상이다.

사고 당시 제주항공 여객기는 동체 착륙 후 활주로 1천600m 정도를 질주한 후 로컬라이저·둔덕과 외벽을 연이어 충돌했다.

외국 항공 전문가와 전직 비행사들은 유튜브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여객기가 이러한 구조물과 충돌해 인명 피해가 컸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금속 형태가 아닌 콘크리트의 돌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은 매우 드물어 사고기 파손을 키웠다는 주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현직 기장은 "여러 공항을 다니며 많은 안테나를 봤지만 이런 종류의 구조물은 처음"이라며 "안테나를 더 높게 만들고 싶어도 콘크리트 벽을 건설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항공 전문가인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영국 스카이뉴스에 출연해 "승객들은 활주로 끝을 조금 벗어난 곳에 있던 견고한 구조물에 부딪혀 사망했는데, 원래라면 그런 단단한 구조물이 있으면 안 되는 위치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비행기는 활주로를 미끄러지며 이탈했는데 이때까지도 기체 손상은 거의 없었다"며 "항공기가 둔덕에 부딪혀 불이 나면서 탑승자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덧붙였다.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현장 살피는 과학수사대


(무안= 서대연 기자 = 30일 오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과학수사대가 잔해를 살피고 있다. 2024.12.30

인천국제공항 등 다른 공항에는 이러한 돌출된 콘크리트 지지물이 없다는 것도 '둔덕의 피해 확대 야기'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연이은 브리핑에서 "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방위각 시설이 있다"며 "제주공항은 콘크리트와 H빔을, 포항공항은 성토와 콘크리트를 썼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해외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공항과 스페인 테네리페 공항, 남아공 킴벌리 공항 등이 콘크리트를 쓴 사례가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국내 모든 공항시설 설계와 건설은 국토부가 총괄하는 만큼 사고 조사 결과 둔덕의 피해 야기 사실이 확인될 경우 국토부의 책임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 시설은 2005년 무안공항 건설 당시 국토부 산하기관인 서울지방항공청에서 설계를 맡았다.

공항 안전 운영기준 제41조 '포장구역의 관리' 1항에 따르면 공항 운영자는 공항 포장지역(활주로)과 비포장지역(비활주로) 사이 7.5㎝ 이상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아울러 공항 안전 운영기준과 공항시설법에 따른 국토교통부 예규 '항공장애물 관리 세부 지침' 제23조 제3항에 따르면 '공항부지에 있고 장애물로 간주되는 모든 장비나 설치물은 부러지기 쉬운 받침대에 장착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항공기와 충돌 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콘크리트 등 단단한 시설물의 설치를 지양해야 한다는 규정이다.

다만 국토부는 "이 지침은 착륙대나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등의 내에 위치하는 시설물에만 적용된다"며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처럼 종단안전구역 외에 설치되는 장비나 장애물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으며 관련 국제 규정의 내용도 같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또 '항행안전무선시설의 설치 및 기술기준'(국토교통부 고시)에는 로컬라이저의 주파수, 신호세기 등만 규정돼 있고, 안테나 지지 구조물의 높이나 재질 등에 대해서는 규정이 없다고 밝혔다. 관련 국제 규정에도 지지 구조물에 대한 내용은 없다는 설명이다.

국토부는 이와 관련해 "해당 시설과 이번 사고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에서 종합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튜브로 보기



https:https://youtu.be/weKYA6DciYo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