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hoto.odigital.co.kr/photo/2025/02/11/2025021113164517392474055722.jpg)
다시 만난 파란 하늘
[ 자료사진]
김은경 기자 = 지난해 국내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가 2015년 관측 이래 최저치(15.6㎍/㎥)를 기록했다고 환경부가 11일 밝혔다.
이는 2015년 초미세먼지 농도(25.2㎍/㎥) 대비 38.1%, 전년(18.2㎍/㎥)과 비교하면 14.3% 감소한 수치다.
초미세먼지가 '좋음'(전국 일평균 15㎍/㎥ 이하)인 날은 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많은 212일이었다.
'나쁨'(전국 일평균 36㎍/㎥ 이상) 등급을 넘어선 일수 또한 10일로 역대 가장 적었다.
'매우 나쁨'(전국 일평균 76㎍/㎥ 이상) 일수는 전국적으로 하루도 발생하지 않았다.
[표] 전국 초미세먼지 등급별 일수 현황 (단위 : 일)
구분좋음(0~15 ㎍/㎥)보통(16~35 ㎍/㎥)나쁨(36~75 ㎍/㎥)매우 나쁨(76 ㎍/㎥ ~)2015년632406002023년1731602812024년212142100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별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12.3∼18.9㎍/㎥ 수준으로 제주·전남이 12.3㎍/㎥로 가장 낮고 강원(12.9㎍/㎥), 경남(13.0㎍/㎥) 순이었다.
17개 시도 중 관측 이래 가장 크게 초미세먼지 농도가 개선된 지역은 전북으로 2015년(35.4㎍/㎥) 대비 54.8% 개선됐다. 전남(50.4%), 강원(50.0%)이 뒤따랐다.
전국 153개 시군에 도시대기측정망이 모두 설치된 2020년 이래 농도 개선 폭이 가장 큰 지역은 강원 태백(18.2㎍/㎥·48.9%), 전남 구례(18.4㎍/㎥) 순이었다.
지난해 전국 153개 시군별 초미세먼지 농도는 8.8∼21.2㎍/㎥ 수준으로 강원 양양이 8.8㎍/㎥로 가장 낮았고 강원 고성(9.1㎍/㎥)과 태백(9.3㎍/㎥), 경북 울진(9.7㎍/㎥)이 뒤를 이었다.
환경부는 국내 정책효과, 국외 유입 감소, 양호한 기상 여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미세먼지 수치가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국내 정책 측면에서는 대기관리권역 내 사업장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총량을 설정해 총량 범위 내에서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한 정책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총량 대상 사업장 수는 대기관리권역 내 총량관리제를 시행한 2020년 400곳에서 지난해 1천13곳으로 대폭 늘어났다.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 사업 등으로 배출가스 5등급 경유차 대수(20만9천대)가 2020년 대비 79.1% 감소한 것 또한 원인으로 꼽았다.
친환경차인 전기·수소차는 지난해 총 75만200대(누적)를 보급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25.1% 증가한 수치다.
이밖에 취약계층 대상 가정용 친환경 보일러 보급사업 및 불법 소각 방지를 위한 영농폐기물 공동 집하장 확충 등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국외 영향 요인 중 하나인 중국의 초미세먼지 농도도 지속해서 감소 추세다.
우리나라와 인접한 중국 동북부 징진지 및 주변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지난해 42.2㎍/㎥로 2015년(77㎍/㎥) 대비 45.2% 개선됐다.
이는 201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기상 상황은 2023년과 연평균 기온·습도·풍속 등은 유사했지만 강수일수가 증가하고 대기 정체 일수가 줄어들어 이 또한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환경부는 판단했다.
한편 환경부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겨울철, 봄철을 맞아 평시보다 강화된 제6차 계절관리제(2024년 12월∼2025년 3월)를 추진, 1월까지 전년 동기(21.8㎍/㎥) 대비 1.8㎍/㎥ 낮은 수준의 초미세먼지 농도(20㎍/㎥)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그간 산업, 수송, 생활 등 핵심 배출원에 대한 집중적인 저감 정책으로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에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현재 시행 중인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고 초미세먼지로부터 국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