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中전문가, '트럼프 관세'에 "中, 희토류 등 보복계획 있을 것"
기사 작성일 : 2025-02-02 14:00:5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TV 제공]

(베이징= 정성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예고대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 신호탄을 쏜 가운데, 홍콩 매체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중국이 보복 준비를 해둔 상태이며 미중 양국 사이에 협상 여지가 있다는 관측을 내놨다.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딜런 로 싱가포르 난양공대 외교정책 전공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그간 중국에 대해 60% 관세를 여러 차례 공언해온 점을 지적하며 이날 발표된 10% 관세는 "상당히 스케일이 줄어든 것"이라고 평가했다.

로 교수는 중국 정부가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포함해 트럼프 대통령의 움직임에 대응할 옵션을 분명히 만들어뒀을 것이라며 "다만 이들은 아마도 전면적인(sweeping) 것은 아닐 텐데, 트럼프의 추가 응징을 부르지 않도록 하는 신중하고 적절하며 적절·세심하게 주조된 옵션일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것(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만으로는 미중 관계를 눈에 띄는 정도로 바꾸지 않을 것"이라며 "시장 대부분은 이미 관세를 고려했고, 중국은 벌써 이 움직임을 예상했다"고 덧붙였다.

왕이웨이 중국인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국제사무연구소장)는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를 오랫동안 대비해왔을 것이라며 "시간문제에 불과했다"고 짚었다.

왕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4년 전에 비해 더 강력하고 성숙해 보인다면서도 "중국 역시 8년 전과 같은 중국이 아니다"라며, 미국은 글로벌 공급망 등 영역에서 중국의 선도적 지위를 흔들 수 없을 것이고 중국은 분명히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왕 교수는 미국이 중국에 고도로 의존적인 희토류 같은 산업들을 고려해 중국이 비상계획을 마련했을 것이고, 미국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나 시간과 비용이 드는 만큼 이 역시 중국의 전략 가운데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중국 경제가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족적이어서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를 "두려워하지 않는다"거나 관세가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유발해 미국 내수와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그럼에도 왕 교수는 여전히 미중 관계에 개선 조짐이 보인다면서 "단기적으로 나빠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그는 중국과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 등 영역에서 비슷한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미중 관계에 구조적 도전들이 있지만, 트럼프의 집권은 실제 중국과 협상의 여지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