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작년 대청호 녹조 심했다…전년보다 '경계' 조류경보 2배 늘어
기사 작성일 : 2025-02-07 09:01:13

대청호 수해 쓰레기 수거 작업


[ 자료사진]

(청주= 천경환 기자 = 지난해 충청권 식수원인 대청호 유역에서 '경계' 단계의 조류경보 발령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수자원공사 대청댐지사에 따르면 작년 대청호 취수원 인근 3개 지점(문의·추동·회남)의 조류경보 발령 일수는 총 112일이다.

'경계' 단계는 67일, 그보다 낮은 '관심' 단계는 45일 발령됐다.

조류경보는 유해 남조류 개체수에 따라 3단계로 발령된다.

2회 연속 채취 시 남조류 세포 수가 ㎖당 1천개 이상이면 '관심', 1만개 이상이면 '경계', 100만개를 넘어서면 '대발생' 경보가 내려진다.

연도별 발령 일수는 2019년 117일(경계 0일), 2020년 90일(경계 12일), 2021년 70일(경계 O일), 2022년 50일(경계 0일), 2023년 112일(경계 34일) 등이다.

2023년과 비교할 때 발령 일수는 똑같지만, '경계' 발령은 2배 증가했다. 그만큼 지난해 대청호의 녹조가 심했다는 얘기다.

녹조 현상은 강수량, 수온, 부유 쓰레기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지난해 대청호에서 조류 번식이 활발했던 것은 장마 기간 집중호우로 오염물질이 대거 유입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해 대청호의 쓰레기 유입 규모는 1만7천㎥로 추산되는데 이는 폭우가 쏟아진 2020년(3만3천㎥) 이후 가장 많은 양이다.

수자원공사는 물순환 장비(수차)를 활용해 조류 발생을 억제하거나 녹조 제거선을 운행하는 등 매년 녹조 확산에 대비하고 있다.

수자원공사 대청댐지사 관계자는 "녹조 발생을 억제하려면 쓰레기를 투기하지 않거나 농약 사용을 줄이는 등 개인이 환경수칙을 준수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지자체는 호수 주변 쓰레기 수거와 폐수처리 강화 등 오염원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