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aily

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상승 전환했지만…비관적 전망 우세
기사 작성일 : 2025-02-11 13:00:25

아파트분양전망지수 추이


[주택산업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오예진 기자 = 이번 달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지수가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지만 분양 시장 상황은 계속 비관적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전국 주택 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2월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 지수가 평균 4.0포인트 상승한 75.4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이 지수는 공급자 입장에서 분양을 앞뒀거나 분양 중인 단지의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로, 100을 밑돌면 시장을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사업자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을 웃돌면 그 반대 상황을 의미한다.

전국 전망 지수는 지난해 11월부터 계속 하락하다가 이달 4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비수도권이 4.8포인트(70.3→75.1) 오른 영향이 컸다.

광주(80.0)가 13.3포인트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전남(75.0) 12.5포인트, 대구(76.2) 12.2포인트, 충남(77.8) 11.1포인트, 부산(77.8) 9.8포인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0.2포인트(76.8→76.6) 내렸다.

인천(76.0)이 2.7포인트 올랐지만, 서울(87.1)과 경기(66.7)가 각각 2.4포인트와 0.9포인트 하락했기 때문이다.

주산연 관계자는 "비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지난 달 큰 폭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상승이 있었으나, 여전히 모든 시도의 아파트 분양 전망 지수가 기준치(100.0)를 크게 밑돌아 전국적으로 아파트 분양시장 상황이 계속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고 분석했다.

이는 강력한 주택 담보 대출 규제와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하는 가운데 비상계엄 사태 이후 환율이 급등하면서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올라 아파트 분양 사업성도 악화했기 때문이다.

전국적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해 지난해 말 기준 준공 후 미분양 물량(2만1천480가구)이 2014년 7월 이후 10년5개월 만에 최대에 이른 상황도 분양 전망이 계속 기준치를 밑돌게 하는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번 달 미분양 물량 전망 지수는 전월 대비 10.7포인트 상승한 113.5로 지난해 1월(115.7)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분양 가격 전망지수(105.9)도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4.5포인트 올랐다.

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7.1p 상승한 84.6으로 집계됐다.

다만 여전히 기준치를 하회하고 있어 분양 물량이 계속 줄어들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했다.

실제로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이번 달 분양 예정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51% 감소한 1만2천676가구로 조사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이런 환경에서 신동아건설 등 중견 건설사들의 부도가 잇따르며 건설사업자 수도 급감하고 있어 이 추세가 지속되면 향후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더욱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정부와 금융기관이 협력해 불합리한 프로젝트 파이낸싱(PF)와 주담대 심사기준을 개선하고, 지방 미분양 주택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건설업계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고 밝혔다.


2월 아파트 분양 전망 지수


[주택산업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댓글